인천이 서해안 선박수리조선산업 거점으로 성장하려면 조선 해양 산업 전 분야를 아우르는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6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에서 수리조선업체와 소형선박 위주 선박수리를 하는 업체는 총 30여 개로 동구, 중구, 서구 등에 분포해있다.
대부분 수십년 간 운영 중인 업체들인데, 현재 입지에선 부가가치가 높은 중대형 선박 수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이전이 필요하지만 주민 반발 등을 이유로 20년 가까이 마땅한 장소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인천은 선박수리조선산업이 발달한 부산, 전남 등과 비교해 집적화, 사업 연계성이 떨어져 수익을 증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인천을 모항으로 운항하는 선박은 수리받기 위해 부산이나 전남으로 원정을 떠나야 하는 상항이다.
요트 등 고급 선박에 대한 수요가 커지는 상황에서 선박수리조선산업은 지속해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 소형위주 업체로 중대형·고급 수리 어려운 실정
수요 증가 예상… 항만 물류산업 주민들 인식 개선 중요
업계에선 선박의 중·대형화, 고급화 등에 대응하기 위해 조선해양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인천 지역 선박수리조선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천으로 들어오는 선박이 부산, 목포, 군산 등으로 수리받으러 떠나는 실정"이라며 "인천항을 드나드는 중대형 선박을 비롯해 요트 등 고급 선박 등을 모두 포괄할 수 있도록, 선박수리조선단지뿐만 아니라 요트, 계류장, 조선소 등이 한 곳에서 운영되는 조선해양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야 선순환하는 산업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선박과 조선 등 지역 항만물류산업에 대한 인식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강동준 인천연구원 교통물류연구부 연구위원은 "인천은 지속해서 물동량이 증가하는 지역으로 선박수리 수요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리적 여건과 주민 인식으로 집적화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부산의 경우, 부산항이 지역 먹거리 산업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어서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데 인천은 항만이 있어서 지역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온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해양산업을 클러스터화해 분산된 산업을 한 곳에 집중하는 정책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