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리시의 부시장 공석 사태가 해를 넘기며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더구나 개방형 공모에 제동이 걸린 구리시가 경기도와 쌍방 인사교류를 추진하고 있지만 경기도가 난색을 표하면서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모양새다.
26일 경기도와 구리시 등에 따르면 구리시는 민선 8기 출범 직후 경기도의 부시장 인사를 거부하고 '지방분권법'과 '지방자치법'을 근거로 자체 공개채용을 추진했다.
하지만 경기도가 "근거가 없다"며 구리시에 불가 입장을 통보한 데 이어 행정안전부와 법제처도 "구리시가 법 조문을 잘못 해석했다"며 구리시 계획에 제동을 걸었다.
이에 낙하산 부시장에 공개 반발해 왔던 구리시는 경기도에서 내려보내는 부시장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지만 도와의 쌍방 인사교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도가 부단체장을 시·군에 보내는 일방 교류가 아닌 1대 1 교류 방식으로 하겠다는 복안이다. 시는 굵직한 관내 현안과 시장 공약 사항 등을 앞두고 도시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부시장 전입을 희망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쌍방교류 계획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구리 부시장의 경우 3급 자리인데 시에는 3급이 없는 데다 3급 승진 요건을 갖춘 4급도 없기 때문이다. 내부에서는 4급을 전출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지만, 도가 이를 받아들일지도 미지수다.
시 관계자는 "관행적으로 경기도가 부단체장 요원으로 전출한 직원을 시·군이 전입 받는 교류가 이어졌다. 쌍방 인사가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도 관계자는 "쌍방 인사교류 등 아직 구리시의 공식 요청은 없는 상태"라며 "구리시와 협의해 부시장 인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26일 경기도와 구리시 등에 따르면 구리시는 민선 8기 출범 직후 경기도의 부시장 인사를 거부하고 '지방분권법'과 '지방자치법'을 근거로 자체 공개채용을 추진했다.
하지만 경기도가 "근거가 없다"며 구리시에 불가 입장을 통보한 데 이어 행정안전부와 법제처도 "구리시가 법 조문을 잘못 해석했다"며 구리시 계획에 제동을 걸었다.
이에 낙하산 부시장에 공개 반발해 왔던 구리시는 경기도에서 내려보내는 부시장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지만 도와의 쌍방 인사교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도가 부단체장을 시·군에 보내는 일방 교류가 아닌 1대 1 교류 방식으로 하겠다는 복안이다. 시는 굵직한 관내 현안과 시장 공약 사항 등을 앞두고 도시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부시장 전입을 희망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쌍방교류 계획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구리 부시장의 경우 3급 자리인데 시에는 3급이 없는 데다 3급 승진 요건을 갖춘 4급도 없기 때문이다. 내부에서는 4급을 전출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지만, 도가 이를 받아들일지도 미지수다.
시 관계자는 "관행적으로 경기도가 부단체장 요원으로 전출한 직원을 시·군이 전입 받는 교류가 이어졌다. 쌍방 인사가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도 관계자는 "쌍방 인사교류 등 아직 구리시의 공식 요청은 없는 상태"라며 "구리시와 협의해 부시장 인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리/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