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올해 외국인직접투자(FDI) 목표(신고액 기준)를 지난해보다 2억 달러 낮춘 4억 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인천경제청 개청 이후 FDI 목표를 낮춰 잡은 것은 이례적인 일로, 투자유치 전략의 근본적인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7일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올해 FDI 목표를 4억 달러로 확정하고 내달 초 이에 따른 투자유치 전략을 발표할 계획이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장기화와 금리 인상 등 국내외 투자 환경 악화가 올해 외국인 투자 전망을 어둡게 했다.
이와 함께 완성 단계에 접어든 인천경제자유구역의 투자용지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이 같은 하향 곡선이 지속될 것으로 인천경제청은 분석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나타나도 줄 땅이 없다는 것이다.
지난해 인천경제청 FDI 신고액은 3억5천800만 달러로, 200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연간 목표 실적인 6억 달러의 60% 수준이다.
러-우크라 전쟁 장기화 등 영향
2008년 이후 가장 저조한 실적
"중장기적 전략 변화 필요" 지적
인천경제청 FDI 신고액은 2003년 개청 이후 2012년(2008년 외환위기 제외)까지 가파르게 증가했다. 2012년에는 21억900만 달러를 기록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이후에는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토지 중 기업 유치 등이 가능한 곳은 전체 부지의 6% 수준"이라며 "중장기적으로 투자유치 전략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천경제청이 최근 진행한 '재정 분석을 통한 중장기 발전 전략 수립' 용역 결과에 따르면 2030년 이후에는 매각할 수 있는 토지가 크게 줄어드는 반면 시설물 유지 등에 따른 지출 비용은 늘어나 인천경제청의 지속가능한 운영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인천경제청은 현재 입주해 있는 기업의 투자 확대와 국내 기업 투자유치 등으로 전략을 다각화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인천경제자유구역에 유치한 국내 기업 투자금은 7조462억원으로, 2021년(1조5천756억원)의 4.5배에 달했다. 국내 기업 유치 건수는 2016∼2020년 3건에 불과했으나, 2021∼2022년에는 7건으로 늘어났다.
중장기적으로는 인천경제자유구역 확대를 통해 외국인 투자 용지를 더 확보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인천 내항 일원, 강화도 남단 등 여의도 14배 면적만큼 경제자유구역을 추가 지정하기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