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정부의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에 제2 경춘국도 건설사업이 선정되면서 정부 노선(안)을 두고 지역 민심이 요동쳤다.
당시 가평군·의회 등은 군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정부의 일방적 노선(안)에 반대 뜻을 표명했다. 주민들은 반대의사 표시로 상여 가두행진 퍼포먼스를 벌이며 반발했다. 이후 제2 경춘국도 노선(안)은 몇 차례 변경되면서 정부·지자체, 지자체·주민, 주민·주민 등 곳곳에서 갈등이 빚어졌지만 결국 정부(안)으로 가닥이 잡혔다.
2020년에는 군이 내놓은 가평군·남양주·포천시의 '가평 공동형 장사시설 건립' 사업이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다수의 주민 등이 장사시설 건립 필요성에는 공감했지만 입지 후보지를 두고 재공모까지 진행되는 등 주민 간 갈등이 고조됐다. 이 갈등은 군수 주민소환 투표 서명운동으로 이어지면서 극에 달했다. 하지만 청구인 측이 시한 1주일을 앞두고 전격 종료를 선언, 일단락됐다.
또 2020년과 2021년에도 경기도 공공기관 2·3차 이전 공모에 각각 2개 기관, 4개 기관을 신청했으나 모두 탈락하면서 군민들은 상실감을 넘어 분노했다. 이 같은 군의 실정을 놓고 일각에서는 각 사안의 문제 해결 프로세스와 차선책 등이 마련되지 않은 행정·정치력 부재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최근에 군은 해결해야 할 당면 현안으로 2025~2026년 도 종합체육대회·도 의료원 가평병원 유치 등을 꼽고 본격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이를 두고 지역사회는 지난 몇 년간의 실정이 되풀이될지 아니면 이를 거울삼아 유치전에 성공할지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의료 사각지대 해소는 그야말로 해결해야 할 지역의 현안이기 때문이다.
/김민수 지역자치부(가평)차장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