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림대성심병원 신경과 이민우 교수(사진)와 분당서울대병원 배희준 교수 연구팀은 최근 열린 '국제 뇌졸중학회'에서 NOAC가 심방세동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의 각종 예후를 개선하는데 100% 매개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NOAC는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 및 전신 색전증의 1·2차 예방을 위해 강력하게 권고됐지만, 지난 10여 년 간 환자의 예후를 어떻게 얼마나 개선 시키는지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19개 병원 뇌졸중 환자 데이터를 통해 NOAC가 도입되기 전인 2011년부터 NOAC 처방률이 75%를 넘긴 2019년까지 심방세동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의 연도별 혈관 사건을 분석하고, 혈관 사건 변화에 NOAC가 미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연구결과 NOAC는 뇌졸중, 허혈성 뇌졸중, 모든 이유 사망, 혈관성 사망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일차복합결과(뇌졸중, 심근경색, 사망), 모든 이유 사망, 혈관성 사망, 혈관질환은 NOAC의 도입이 100% 매개해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심방세동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에서 NOAC를 도입한 이후 뇌졸중 유병률은 2011년 8.7%에서 2019년 5.2%로, 혈관성 사망 유병률은 같은 기간 9.4%에서 5.7%로 떨어졌다. 이민우 교수는 "진료실에서 심장혈관질환이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NOAC 복용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뇌졸중은 암, 심장질환, 폐렴에 이어 한국인 사망원인 4위로 꼽힌다. 특히 뇌졸중 위험이 있으면서 심혈관 질환이 있으면 심장에서 만들어진 혈전이 뇌로 들어가 뇌혈관을 막을 수도 있어 심방세동을 유의해야 한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