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대응에 앞장섰던 인천의료원이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에 접어들면서 총체적 난국을 겪고 있다.
8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인천의료원 병상가동률은 현재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의료원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돼 지난해 5월까지 코로나19 환자만 진료했다. 인천의료원은 지난해 6월부터 일반 환자를 다시 받고 있는데,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정상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천의료원 평균 병상가동률은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9년 83.4%였으나, 올해 1~2월 평균 병상가동률은 41.4%로 집계됐다. 전체 300개 병상 중 170여 개 병상이 비어있는 셈이다. 코로나19 환자만 진료하던 2020년(60.8%)과 2021년(50.1%)보다도 병상가동률이 떨어졌다.
'감염병 전담'하다 작년 6월 일반진료… 코로나 前 83.4% → 올초 41.4%
손실보상금마저 끊기면 경영악화 불보듯 "정상화 정부지원 필요" 호소
인천의료원이 코로나19 관련 환자만 진료하면서 필수 진료 과목 등 전문의 이탈·공백문제도 두드러지고 있다. 인천의료원에 따르면 정원이 1명인 신장내과의 경우 지난해 초부터 전문의 공백이 이어지고 있다. 잇달아 낸 채용공고에도 인력이 충원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신장내과 진료가 멈추기 전 인천의료원에서 1주일에 2~3번씩 투석을 받던 환자는 약 80명이었다.
심장내과, 정형외과, 호흡기내과 등 다른 과목도 전문의 정원을 채우지 못한 상태다. 심장내과 등 일부 과목은 가천대 길병원으로부터 1주일에 두 번 의사를 파견받아 외래 진료만 이어가고 있다.
조승연 인천의료원장은 "지난 3년간 코로나19 환자만 전담하다 보니 코로나19 전에 인천의료원을 이용했던 외래·단골 환자들이 전부 다른 병원으로 옮겨갔다"며 "인천의료원이 지리적으로 외진 곳에 있어서 신규 환자 유치에도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이후 의료 인력 수급난도 지속되고 있다"며 "전문의가 줄어드니 진료할 수 있는 환자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그동안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의료기관에 손실보상금을 지급해왔다. 코로나19 엔데믹 국면을 맞아 정부는 감염병 전담병원을 점차 해제하고 있다. 정부는 감염병 전담병원에서 전면 해제된 의료기관에는 해제 이후 6개월까지만 손실보상금을 지급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인천의료원은 코로나19 의무 격리 병상이 남아있어 아직은 손실보상금을 받고 있다. 10여 개 정도의 격리 병상마저 해제될 경우 인천의료원은 손실보상금을 받을 길이 사라진다. 실제로 다른 지역 일부 공공의료원의 경우 경영 악화가 이어지면서 임금 체불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는 게 조승연 원장 설명이다.
조 원장은 "민간병원은 코로나19 기간 구조조정 등으로 경영에 있어 유연한 대처가 가능했지만, 공공병원은 상황이 다르다"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때를 고려하면 인천의료원이 회복하는 데 4~5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원은 공공의료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정상화할 때까지 정부가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호소했다.
김석철 인천시 보건복지국장은 "지난번 한덕수 국무총리가 인천의료원을 방문했을 당시 조승연 원장과 함께 손실보상금 기간을 늘려달라고 건의했지만 어렵다는 답변이 왔다"며 "인천시는 출연금을 늘리는 등의 방식으로 인천의료원을 지원하고 있다. 인천의료원 차원의 자구적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