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jpg
배곧대교 조감도. /시흥시 제공
 

인천시와 경기 시흥시가 인천 송도 갯벌 파괴 논란으로 중단된 배곧대교 건설사업 추진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환경부가 갯벌 파괴 우려 등을 이유로 부동의한 '배곧대교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해 시흥시와 재협의를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인천경제청과 시흥시는 전략환경영향평가를 보완해 연내 다시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배곧대교 건설로 훼손이 우려되는 송도 갯벌 면적은 2만3천219㎡다. 인천경제청과 시흥시는 최근 협의를 통해 훼손 우려가 있는 송도 갯벌 면적의 최소 100배에 달하는 시흥 갯벌을 습지보호지역으로 대체 지정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이런 내용을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담아 연내 환경부에 다시 제출한다는 방침이다.

배곧대교는 인천 송도국제도시와 시흥 배곧신도시를 연결하는 총연장 1.89㎞, 너비 20m(왕복 4차로) 사장교다. 인천 환경단체들은 교량이 건설될 경우 송도 습지보호지역이 크게 훼손된다며 반발해왔다. 한강유역환경청도 이런 우려를 인정해 지난해 다리 건설사업을 부동의했다. 


건설땐 훼손 우려 환경부 '부동의'
아암대로 등 상습정체… 사업 시급
습지 대체지정 영향평가 보완 계획


인천시와 시흥시는 송도국제도시와 배곧신도시를 연결하는 배곧대교 건설이 두 경제자유구역의 투자 유치와 정주 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상습 정체 구간인 아암대로와 제3경인고속도로 정왕IC 구간 교통난을 해소하려면 배곧대교 건설이 시급한 것으로 보고 있다.

양측은 인천시·경기도와 두 경제자유구역청이 참여하는 4자 협의체를 운영해 교량 건설에 따른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책사업으로 추진되도록 환경부와 지속해서 협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인천경제청과 시흥시는 송도국제도시 전력난 해소에도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송도 입주 기업이 많아지면서 추가 전력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시흥시 일부 주민들이 시흥에서 송도로 연결되는 7.4㎞ 길이의 지중 송전로 건설을 반대하면서 차질을 빚어 왔다. 인천경제청과 시흥시는 양 기관에 걸쳐 있는 이런 현안들을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은 "갯벌을 보호하면서 교량을 건설한 사례가 국내외에 많다"며 "송도·시흥 주민들의 교통 인프라 확충을 위해 배곧대교 건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