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천대 길병원(병원장·김우경) 뇌혈관센터가 문을 열었다.
가천대 길병원은 뇌혈관질환 발병률을 낮추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다학제 기반의 '뇌혈관센터'가 지난 13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신경외과·재활의학과 등 5개 과목
다학제로 '골든타임' 내 진료시스템
뇌혈관센터는 '골든타임' 내 조기 진단과 치료, 그리고 재활까지 제공하는 다학제 기반 진료 시스템을 갖췄다. 신속하고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신경외과, 신경과, 재활의학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등 5개 진료과 전문의들이 뇌혈관질환 관련 다학제 진료를 제공한다. 센터장은 신경외과 유찬종 교수, 부센터장은 재활의학과 이주강 교수와 신경과 이영배 교수가 임명됐다.
뇌혈관질환은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파열되는 '뇌출혈'이 있다. 특히 뇌출혈은 영구적인 장애를 일으키는 심각한 뇌혈관질환이다. 수술적 치료를 통한 조기 처치로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발병을 예방하려면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뇌경색은 약물치료로 가능하다. 하지만 대뇌의 굵은 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은 약물로 치료되지 않는 경우 뇌혈관내 최소침습 시술이 이뤄진다. 이때 대퇴부 동맥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해 막힌 뇌혈관을 치료하게 된다.
의료진 협업 패스트트랙 구축 눈길
"발병률 급증세… 예방 기능 중점"
뇌혈관센터는 치료 시기가 중요한 뇌혈관질환의 특성을 고려해 더욱 신속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만성적인 고위험군 환자, 응급실을 통해 내원한 급성기 환자, 비응급 환자 등 맞춤형 전문 치료가 이뤄진다. 치료 후에는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선도적인 재활치료가 제공된다. 이 모든 과정은 뇌혈관센터 의료진들의 협업을 통해 이뤄진다.
뇌혈관센터는 진단과 입원, 재활 등 모든 절차가 빠르게 연계될 수 있도록 패스트트랙 진료 시스템을 구축했다.
뇌혈관센터 유찬종 센터장(신경외과)은 "응급실 의존도가 높은 급성기 질환 외에 비응급 환자에게도 사전 진단과 치료를 제공하게 됐다"며 "뇌혈관질환 발병률의 증가추세가 가파른 만큼 질환을 미리 찾아서 치료하고 예방하는 방향으로 진료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가천대 길병원은 지난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뇌졸중 적정성 평가에서 9회 연속 1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
/임승재기자 i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