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6년 지방자치제도의 본격 시행은 지방정부에 지방산단 개발 권한을 안겨주었다. 여기에는 1980년대 이후 국토 균형발전이란 화두와 맥락을 같이 한다.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들이 지방의 뜨거운 환영을 받았지만, 지방자치단체는 난개발로 인한 부정적 효과에 대한 책임도 함께 져야 했다.
여주시가 경기도와 머리를 맞대고 산단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하이닉스와의 상생 협약이 기폭제가 되었다. 우선 수도권정비법 시행령의 개발 제한 규제인 '산업단지 공업용지 6만㎡ 이하'를 준수하되 대신 15개의 산단을 3개 지구로 나눠 한 번에 조성해 산업 집적지로서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단순 기업의 군집이 아닌 혁신 클러스터로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그 규모가 무려 90만㎡다. 여주시는 이곳에 약 70개의 기업을 입주시켜 최소 1천500여 명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주시의 산단 조성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그렇다면 시는 그동안에 조성된 산단들이 왜 지역경제에 별 도움이 되지 않았는지를 꼼꼼히 되짚어봐야 한다. 시는 지난 2월 차세대 이차전지 제조업체인 (주)그리너지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공장이 준공되는 내년부터는 이차전지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 민간 산단 및 공공 산단을 추진해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조성하겠다는 것이 시의 구상이다. 신속한 행정지원으로 경기 동부권에 K-배터리 혁신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시의 꿈이 이루어지기를 바랄 뿐이다.
/양동민 지역사회부(여주) 차장 coa007@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