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용인시에 300조원 규모의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적극 환영의 뜻을 밝히며 '반도체 지원 전담기구(TF)'를 즉시 구성하는 등 전폭적인 지지를 약속했다.
김동연 지사는 15일 "경기도는 그동안 삼성과 반도체 산업 투자에 대해 협의해 왔다. 오늘 그 결실을 보게 돼 대단히 기쁘다"면서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관련 부서와 해당 시군, 유관기관 등이 모두 참여하는 '반도체 지원 전담기구(TF)'를 즉시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15일 "경기도는 그동안 삼성과 반도체 산업 투자에 대해 협의해 왔다. 오늘 그 결실을 보게 돼 대단히 기쁘다"면서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관련 부서와 해당 시군, 유관기관 등이 모두 참여하는 '반도체 지원 전담기구(TF)'를 즉시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바이오·모빌리티·AI 등 발전 다짐
염태영 부지사 단장 전담 TF 발족
소부장 등 분야 3년간 90억 투입도
그러면서 "앞으로 반도체뿐만 아니라 바이오, 모빌리티,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산업을 견인해 경제의 역동성을 살리고 미래를 준비하겠다. 경기도를 세계적 반도체 클러스터로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이날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열고 세계 최대 규모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내용이 담긴 '국가첨단산업 및 국가첨단산업벨트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오는 2042년까지 첨단 반도체 제조공장 5개를 구축하고 국내외의 우수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 팹리스 등 최대 150개를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용인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기흥·화성·평택·이천 등 기존 반도체 생산단지와 인근의 소부장기업, 팹리스 밸리인 성남 판교 등을 연계한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완성된다. 이는 메모리-파운드리-디자인하우스-팹리스-소부장 등 반도체 전 분야 밸류체인과 국내외 우수 인재를 집적한 '글로벌 반도체 클러스터'의 선도 모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현재 기흥에 7팹(fabrication. 반도체 제조라인), 화성에 반도체연구소와 6팹을 운영 중이며 평택에 6팹을 조성하고 있다. 현재 기흥에 연구팹도 조성 중으로, 도에 수백조에 달하는 투자를 진행하는 등 동반자적 관계를 맺고 있다.
도에서는 이미 SK하이닉스가 415만㎡(126만평), 120조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이번 신규 반도체 클러스터 지정으로 대한민국 반도체의 집적지인 도를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로 발전시키겠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도는 원활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지원하기 위해 우선 염태영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한 '반도체 지원 전담기구(TF)'를 즉시 발족한다. TF에는 경제투자실장, 미래성장산업국장 등 관련 실·국장, 용인시 부시장,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전력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여한다. 이들은 도와 시군 관계부서 협의, 주민 의견 청취와 지역사회 상생, 기업애로 해소 지원 등을 담당하게 된다. 민선 8기 조직개편으로 신설된 반도체산업과에도 (가칭)'반도체 지원 전담팀'을 만들어 1:1 기업 전담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도는 이번 정부 발표로 세계적인 반도체 산업의 중심지로 도가 더욱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고 도민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반도체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온 도의 투자전략도 한층 더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도는 민선 8기 들어 세계적 반도체 관련 기업인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AMAT) 연구소 유치에 성공하면서 에이에스엠엘(ASML), 램리서치, 도쿄일렉트론(TEL) 등 세계 4대 반도체 장비회사를 모두 품는 성과를 올리는 등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 왔다. 이에 발맞춰 지난해 12월 민선 8기 첫 조직개편을 진행했고 전국 광역 지자체 중 최초로 반도체산업과를 신설하며 반도체 클러스터 건설을 위한 아낌없는 지원을 예고했다.
염태영 부지사 단장 전담 TF 발족
소부장 등 분야 3년간 90억 투입도
그러면서 "앞으로 반도체뿐만 아니라 바이오, 모빌리티,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산업을 견인해 경제의 역동성을 살리고 미래를 준비하겠다. 경기도를 세계적 반도체 클러스터로 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이날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열고 세계 최대 규모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내용이 담긴 '국가첨단산업 및 국가첨단산업벨트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오는 2042년까지 첨단 반도체 제조공장 5개를 구축하고 국내외의 우수한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 팹리스 등 최대 150개를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용인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기흥·화성·평택·이천 등 기존 반도체 생산단지와 인근의 소부장기업, 팹리스 밸리인 성남 판교 등을 연계한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완성된다. 이는 메모리-파운드리-디자인하우스-팹리스-소부장 등 반도체 전 분야 밸류체인과 국내외 우수 인재를 집적한 '글로벌 반도체 클러스터'의 선도 모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현재 기흥에 7팹(fabrication. 반도체 제조라인), 화성에 반도체연구소와 6팹을 운영 중이며 평택에 6팹을 조성하고 있다. 현재 기흥에 연구팹도 조성 중으로, 도에 수백조에 달하는 투자를 진행하는 등 동반자적 관계를 맺고 있다.
도에서는 이미 SK하이닉스가 415만㎡(126만평), 120조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이번 신규 반도체 클러스터 지정으로 대한민국 반도체의 집적지인 도를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로 발전시키겠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도는 원활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지원하기 위해 우선 염태영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한 '반도체 지원 전담기구(TF)'를 즉시 발족한다. TF에는 경제투자실장, 미래성장산업국장 등 관련 실·국장, 용인시 부시장,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전력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여한다. 이들은 도와 시군 관계부서 협의, 주민 의견 청취와 지역사회 상생, 기업애로 해소 지원 등을 담당하게 된다. 민선 8기 조직개편으로 신설된 반도체산업과에도 (가칭)'반도체 지원 전담팀'을 만들어 1:1 기업 전담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도는 이번 정부 발표로 세계적인 반도체 산업의 중심지로 도가 더욱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고 도민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반도체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온 도의 투자전략도 한층 더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도는 민선 8기 들어 세계적 반도체 관련 기업인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AMAT) 연구소 유치에 성공하면서 에이에스엠엘(ASML), 램리서치, 도쿄일렉트론(TEL) 등 세계 4대 반도체 장비회사를 모두 품는 성과를 올리는 등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 왔다. 이에 발맞춰 지난해 12월 민선 8기 첫 조직개편을 진행했고 전국 광역 지자체 중 최초로 반도체산업과를 신설하며 반도체 클러스터 건설을 위한 아낌없는 지원을 예고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