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5개 지역에 국가첨단산업벨트를 조성하겠다는 정부 계획을 두고, 인천에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 분야에 반도체는 물론 바이오와 수소, 모빌리티 등의 산업이 포함됐는데, 인천시가 역점적으로 육성을 추진하는 미래 전략산업 분야와 상당 부분 중복되기 때문이다. 정부가 기계적인 지역 균형발전 논리에 매몰돼선 안 된다는 지적이 인천 지역사회에서 나온다.
반도체 패키징 '국내 최고 생태계'
서구일대 '수소' 송도 중심 '바이오'
정부는 최근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전국 15개 지역에 국가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반도체와 바이오, 수소, 모빌리티 산업 등 미래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전국적으로 총 4천76만㎡ 규모의 산단을 조성해 기업 투자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정부는 반도체의 경우 경기 용인과 대전, 바이오는 경북 안동, 수소는 충남 홍성과 전북 완주·경북 울진, 모빌리티는 충남 천안 등을 첨단산단 후보지로 선정했다.
정부는 후보지 인근에 도심융합특구, 국가첨단전략산업·소부장(소재·부품·장비)특화단지, 스마트혁신지구 등을 함께 지정해 해당 지역의 산업분야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전 국토에 균형된 첨단산업 생산 거점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지원 산업분야 대부분 인천과 겹쳐
"경쟁력 향상 선택·집중이 합리적"
우려의 목소리는 정부가 내세우는 산업 분야 대부분이 인천의 전략산업과 겹친다는 지점에서 나온다.
인천엔 반도체 패키징 분야 세계 2위 앰코테크놀로지코리아와 3위 스태츠칩팩코리아가 있고, 남동국가산단을 중심으로 반도체 관련 소부장 업체 1천200여 개가 있다. 반도체는 인천의 1위 수출 품목으로, 특히 반도체 패키징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산업 생태계가 조성돼 있다.
인천시는 이 같은 여건을 토대로 정부가 추진하는 반도체 특화단지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2021년 '수소산업 선도도시'를 선언하고, 서구 일대에 수소산업을 집적화하는 '수소생산 클러스터' 조성도 추진 중이다.
인천 송도국제도시를 중심으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바이오 업체와 함께 바이오 인력 양성을 위한 기관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송도 입주를 준비하는 바이오 분야 기업들도 다수다. 반도체와 수소, 바이오 관련 산업 여건이 일정 부분 갖춰지고 있는 것이다.
이들 산업은 인천시가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뉴홍콩시티 프로젝트'(투자유치를 통한 산업 육성 사업) 전략산업으로도 반영돼 있다. 모빌리티 분야도 인천의 전략산업 중 하나다.
이들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한데, 정부의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 구상에 인천이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것 아니냐는 게 우려의 배경이다.
지역 경제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정부가 기계적인 지역 균형발전 논리보다는 관련 첨단산업이 제대로 성장할 수 있는 지역의 경쟁력을 높일 방안을 우선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의 미래를 위해 인력과 자본 여건이 갖춰진 지역을 선택하고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합리적일 수 있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