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이 많은 인천지역 제조업계의 탄소중립 대응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전력 충당) 전환이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 제조기업들이 기술 혁신을 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 차원의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테크노파크와 인천정책포럼은 20일 쉐라톤 그랜드 인천호텔에서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중소기업의 위기와 대응방안'을 주제로 인천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인천연구원 한준 연구위원은 "인천 중소 제조기업들은 탄소중립으로 인한 영향에 대한 이해가 낮고, 대응 계획 수립도 안 된 상태"라고 주장했다. 


대응방안 설문 81.4% "모른다"응답
58.8% "지금도 앞으로도 계획 없다"


인천연구원이 지난해 7월 인천지역 제조업체 301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보면, 응답기업의 81.4%가 '자사 탄소중립 대응방안'에 대해 '모른다'고 했다. 또 '향후 탄소중립 대응 계획 여부'에 대해서는 58.8%의 기업이 '지금도 없고 앞으로도 없다'고 답했다.

한 연구위원은 "인천 제조업체들은 탄소중립이 자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막연히 우려할 뿐 구체적인 정보가 없고 인식도 낮다"고 말했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표방하고 있는 가운데 인천지역 제조업이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면 수출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특히 인천지역에서 20년 넘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간접배출량'이 중소기업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간접배출량이란 공장 내 공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이나 열 사용으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의미하는데, 업종별 간접배출량 추이를 보면 화학과 금속, 철강 등 인천의 주력산업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EU 등 세금 부과 추진 타격 불가피


문제는 EU를 비롯한 세계 주요 국가들이 자국에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들을 상대로 간접배출량 규모를 따져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탄소중립에 대응할 준비가 안 된 수출 중소기업들의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국내에서 산업부문의 탄소배출 관련 지원은 중앙정부가 전담하고 있고, 이마저도 탄소배출권거래제에 참여하는 대기업 중심으로 지원이 이뤄지고 있어 중소기업은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한 연구위원은 "인천 중소기업은 탄소배출권에 참여하지 않고 있지만, 대기업 협력사를 중심으로 앞으로 탄소배출 저감 규제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인천테크노파크 등 지자체 관련 기관이 제조업체들의 탄소배출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헌수 인천정책포럼 부회장은 "철강이나 석유화학 업종은 탄소중립 대응 과정에서 설비 개선 등 많은 변화가 불가피한데, 해당 업종 기업들이 원료나 연료를 전환해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연구개발 투자에 나서도록 하는 정책적 뒷받침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