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청년' 이었던 한국문학
그 면모 부추긴건 단연 시인들 요절
반면 '노대가' 모습 보인이들 여럿
이렇게 한국문학의 '청년문학'으로서의 면모를 부추긴 것은 단연 시인 작가들의 요절이었다. 천재는 요절한다더니 한국문학의 구성원들이 꼭 그 꼴이었다. 나도향, 이상, 김유정, 윤동주, 기형도 등은 서른을 채우지 못했고 김소월, 박용철, 이효석, 오장환, 김환태, 박인환, 신동엽 등도 한창때인 30대에 세상을 등졌다. 비교적 완결성 있는 문학 생애를 남긴 김동인, 현진건, 정지용, 김영랑, 채만식, 임화, 김남천, 이육사, 김기림, 조지훈, 김수영, 김현, 김남주, 고정희 등도 지천명에 이르지 못했다. 또 북을 택하여 존재론적 연속성으로서의 문학적 말년을 가지지 못했던 이태준, 박태원, 백석, 이용악도 있다. 어쨌든 한국문학은 중장년 이후의 문학적 전통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근대의 한복판을 지나왔으며 자연스럽게 우리는 숱한 청년시인들의 때 이른 사라짐을 안타까워하며 역설적으로 그들에게 한없이 황홀해하였다. '젊음'이라는 것이 더없는 배타적인 문학적 매혹이요 수원(水源)이었음을 흔쾌하게 받아들여 왔던 것이다.
이와는 달리 우리에게 '노대가'의 모습을 보여준 이들도 여럿 있다. 오래도록 작품 활동을 하였고 문학적 말년까지 균질적 작품을 보여준 박종화, 염상섭, 이병기, 김동리, 서정주, 김정한, 김달진, 신석정, 박목월, 박두진, 황순원, 김현승, 김광섭 등이 그들이다. 이들은 근대사의 험난한 협곡을 지나오면서 요절의 불행을 벗어난 행운아들이다. 또한 우리는 최근에 이러한 노대가들의 연쇄적 점증을 숱하게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이분들의 작품은 시간예술의 속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면서, 까맣게 잊힐 수도 있었던 역사를 재구성하기도 하고, 기억에서 사라져가는 장면을 붙잡아두기도 했다. 그리고 자신만의 사유와 감각을 통해 우리가 가닿아야 할 궁극적이고 근원적인 성찰의 몫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그 사유와 감각으로 형상화한 시간의 흔적과 문양이 오래도록 잔잔하게 남을 것이다. 이처럼 그들의 목소리는 이제 한국문학에서도 이른바 '노년의 미학'이라할 수 있는 성과가 만만치 않은 깊이와 너비를 가지고 있음을 한결같이 증언해주고 있다. '노익장(老益壯)'이라는 말이 있거니와 이들의 성취는 한국문학의 심층으로서 '노익장의 미학'을 그야말로 전면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여전한 노년' 새로운 매혹
'水源'으로 등극할 날 머지 않은듯
한국문학에서는 '요절 아니면 변절'이라는 풍문이 있다. 요절한 이들은 역설적으로 자신의 통일적 상(像)을 견고하게 지켜냈지만, 오래 살아 문학적 입장에 균열이 간 이들은 변절의 고개턱을 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고 순결한 동일성을 위해 요절을 택할 수는 없지 않은가. 평균수명이 많이 길어진 지금, 우리 문학에는 '하강적 노년'과 '여전한 노년'이 있을 뿐이다. 최근에 더욱 경의에 값할 성취를 내는 선학들을 떠올릴 때, 이제 '여전한 노년'이 한국문학의 새로운 매혹이자 수원으로 등극할 날도 머지 않았음을 느끼게 된다.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문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