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박은 심장 박동으로 심장에서 나오는 피가 동맥을 타고 흐르면 얇은 피부에 닿아 생기는 주기적인 파동이다. 흔하게 맥박은 손목에서 측정할 수 있고, 또 목에서도 측정할 수 있다. 턱 아래로 목의 좌우에 손을 대어보면 맥박을 느낄 수 있는데, 이 부위가 바로 경동맥이다. 경동맥은 뇌로 가는 혈액의 80%를 보내는 중요한 혈관이다.
경동맥은 혈액을 뇌로 보내는 내경동맥과 얼굴로 전달하는 외경동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이 갈라지는 부분에 혈전이 축적되면서 발생하는 것이 바로 경동맥 협착증이다.
경동맥이 조금이라도 좁아졌을 때 증상이 나타나 바로 진료를 받으면 좋겠지만, 아쉽게도 경동맥은 절반 이상이 막혀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라면 어지럼증이나 일시적인 시력 소실, 한쪽 팔다리 마비 등의 신경 증상이 발생했다가 몇 분에서 몇 시간 내에 저절로 없어지는 '일과성 허혈발작'이 생길 수 있다.
일시적 시력 소실·팔다리 마비 등 '허혈발작' 증상
경동맥 협착의 원인은 혈관의 노화, 고지혈증, 흡연, 당뇨 등이 있다. 혈관벽이 고지혈, 흡연 물질 또는 고혈당에 장기간 노출되면 염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혈관벽 내부에 지방과 각종 물질이 쌓이고 근육세포들이 증식해 결국 혈관이 좁아지게 된다.
경동맥 협착이 위험한 이유는 혈액공급의 감소도 있지만 혈관벽에 침착되어 있던 지방 조직이 떨어져 나와 뇌혈관의 말단 부위로 흘러 혈관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색전이라고 하는데 바로 뚫리기도 하지만 일정 시간 막혀 있으면 혈액공급이 안 되어 뇌세포가 죽게 되면서 뇌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 죽은 뇌세포는 재생이 안 되기 때문에 뇌경색이 발생할 경우 신체가 완전히 정상화되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전조 증상이 있다면 바로 119에 연락해 뇌혈관 치료 병원으로 빨리 이송해야 한다.
치료는 약물치료와 외과적인 치료로 나눌 수 있다. 항혈소판제제나 항응고제제 등의 약물치료나 경동맥 내막제거술이나 스텐트 삽입술 등의 외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데, 환자의 증상 유무와 내경동맥 협착 상태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수술이나 시술을 한 후라도 안심할 수는 없다.
당뇨나 고혈압 등의 위험인자가 있다면 재협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금주, 금연, 체중 조절 등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3만8천여명이있던 경동맥 폐쇄 및 협착 환자는 2020년 10만명에 이르렀다. 특히 60, 70대가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66%)을 차지하고 있다. 예방을 위해 40세 이후에는 정기적으로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