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ㅇㅎㅇㅎ.jpg
경기도내에서 평택시, 수원시 일대의 '깡통전세'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인 가운데, 해당 지역 내에서도 사회초년생 등이 주로 거주하는 소형 주택이 위험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수원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경인일보DB
 

경기도내에서 평택시, 수원시 일대의 '깡통전세'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인 가운데, 해당 지역 내에서도 사회초년생 등이 주로 거주하는 소형 주택이 위험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100%를 넘긴 주택의 대다수가 중소형이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의 임대차 사이렌에 따르면 올 1~3월 경기도 시·군·구 중 연립·다세대주택의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100.4%를 기록한 평택시다. 그 뒤를 수원시 팔달구(95.1%), 파주시(94.5%), 수원시 장안구(89%) 순으로 이었다.

수원시 일대 상황을 살펴보니 전세가율이 높은 주택 대다수가 전용 84㎡ 이하인 중소형 면적이었다. 9일 경기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수원 권선구 소재 오피스텔 '세종그랑시아(2004년 준공)'는 전세가율이 98.78~100%에 달한다. 시장에서는 전세가율이 60%를 넘기면 깡통전세 위험이 있다고 보는데 이를 훌쩍 넘긴 것이다.

해당 주택은 403가구 규모로 면적은 전용 29.17㎡(140가구), 32.7㎡(250가구), 42.8㎡(13가구)로 구성되는데 3개 타입 모두 전세가율이 높았다. 이중 29.17㎡ 140가구는 매매시세가 1억1천만~1억2천만원인데 전세가가 동일한 수준이었다. 전세가율이 100%에 이른다는 얘기다. 전용 32.7㎡, 42.8㎡ 주택의 전세가율도 각각 98.51%, 98.78%로 상당히 높았다. 


'벨로시티' '인계미루' 매매가-전세금 동일… 90% 초과도 10곳 이상
주거취약계층 수요 많아… 전문가 "채권 등 합계치 집값 추월 확인"


팔달구 인계동의 경우 전세가율이 100%에 이르는 주택이 2곳이었다. 오피스텔 '벨로시티'와 도시형 아파트 '인계미루'다. 벨로시티의 전용 17.65㎡(52가구) 주택은 매매 시세가 4천500만~5천만원인데 전세금이 매매가와 같았다. 인계미루 전용 15.02㎡도 매매 시세와 전셋값이 6천500만~6천800만원으로 동일했다.

전세비율이 90%를 넘기는 곳도 상당했다. 인계동만 보더라도 '인계샤르망(92.72~98.24%)', '에스팝타워(85~96.77%)', '드라미시티(90.01~96.39%)' 등 10곳이 넘었다. 이같은 주택은 청년 등 주거취약계층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몰리는 곳이다. '깡통전세' 피해 우려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이미 위험 상황이 감지되는 곳도 나타나고 있다.

권선동의 한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최근 인근 주택의 전세 임차인이 부동산을 찾았었다. 알고보니 임대인이 지난해에 바뀌었는데 전세금보다 저렴하게 주택을 취득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런데 임차인이 전세금 반환을 요청하니까 임대인이 연락되지 않는 상황"이라며 "저금리에 갭투자로 주택을 매입한 이들이 많은데, 금리가 오르고 집값이 떨어지자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서진형 경인여대 교수는 "소형 주택은 주거취약계층의 임차 수요가 높아 전세가가 비교적 높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다"며 "임차인들은 선순위채권과 임차보증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의 60%가 넘는지 꼭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