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감미료가 체중조절에 장기적으로 효과가 없고, 오히려 당뇨나 심장병 위험을 키울 수 있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새로운 판단이 나왔다.
WHO는 15일(현지시간) 발표한 비당류감미료(NSS)에 대한 새 지침에서 몸무게를 조절하거나 비전염성 질병의 위험을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했다. NSS는 아세설팜K, 아스파탐, 어드밴타임, 네오탐, 사카린, 스테비아, 스테비아 파생물 등을 지칭한다.
WHO는 성인이나 어린이에게 체지방을 줄이는 데 NSS가 장기적으로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점을 시사하는 증거를 체계적으로 검토해 얻은 결론을 이번 권고의 토대로 삼았으며, NSS를 장기간 섭취하면 2형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성인의 경우 사망의 위험을 키우는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다만 WHO는 연구 참가자들의 기본 모델과 NSS 사용의 복잡한 패턴 때문에 증거에서 관측되는 NSS와 질병 결과의 관계가 혼란스럽다며 이번 권고는 일단 잠정적인 것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이번 권고는 이미 당뇨가 있는 사람을 제외한 모든 이들에게 적용됐다. 대상으로는 설탕으로 분류되지 않는 모든 인공·자연 감미료가 포함됐고, 치약이나 스킨크림, 의약품, NSS로 분류되지 않는 저열량 설탕, 당알코올류 등 치료·미용·위생용품은 빠졌다.
프란체스코 브란카 WHO 영양·식품 안정 국장은 "NSS는 필수적인 식이요인이 아니고 영양적 가치가 없다"며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릴 때 시작해 식품의 단맛을 전체적으로 줄여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
체중 줄이려다 되레 당뇨병 불러오는 'NSS'
WHO, 비당류감미료 대상 새 지침
입력 2023-05-16 19:15
수정 2023-05-16 19:15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05-17 15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