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전기요금이 인상되면서 인천지역 제조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업종 특성상 전력사용량이 많은 뿌리산업과 철강업 등이 경기침체 속에 설상가상으로 전기요금까지 인상되면서 수익성이 악화할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정부가 올해 2분기(4~6월) 전기요금 인상을 발표하면서 16일부터 산업용 전기요금도 kwh당 8원 올렸다. 지난 1분기 kwh당 13.1원이 오른 데 이어 올해만 두 번째 인상이다. 이 때문에 산업계의 고심도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체 전기사용량(5천479억kwh) 가운데 산업용 전기가 2천960억kwh로 54%를 차지했다.
특히 전력사용량이 많은 분야인 인천지역 뿌리기업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뿌리기업이란 주조, 금형, 용접, 열처리 등의 기술을 이용해 제품의 형상을 만드는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공정 특성상 전기를 비롯한 에너지 사용량이 많다.
전력사용량 많은 뿌리산업 흔들
인천 철강업계 '원가 10%' 차지
정부도 뿌리기업의 특성을 고려해 이번 인상에 따른 후속대책으로 전기요금 분할납부제도를 뿌리기업까지 확대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분할납부란 매월 전기요금의 50%를 내면, 나머지 요금은 최대 6개월간 나눠서 낼 수 있는 제도다. 그러나 뿌리기업계에서는 임시방편에 불과한 대책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의 한 뿌리기업 관계자는 "주조나 열처리처럼 장시간 설비를 가동하는 공장은 전기요금이 오르는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분야"라며 "소규모 업체가 많고 경기침체도 계속되고 있는데, 전기요금 납부를 몇 달 미뤄주는 걸 대책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는 분할납부 확대 적용 발표
"불황에 수익성 악화 걱정" 울상
뿌리기업과 마찬가지로 에너지 사용량이 높은 철강업계도 우려하는 분위기다. 특히 전기에서 발생하는 열로 금속을 녹여 철강을 생산하는 공정 방식인 전기로를 도입한 경우 전기요금 인상 부담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인천에 위치한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은 전기로를 주력으로 철강을 생산하고 있는데, 제품 원가의 10% 안팎이 전력비용일 정도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지난해와 달리 올해 철강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도 철강업계에는 악재다. 건설경기가 위축되면서 철근 등 자재 수요가 감소한 탓에 가격을 인상하기 쉽지 않은데, 전기요금이 오르면서 비용 압박이 더욱 커진 것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날이 풀리는 3월이면 국내와 해외 모두 철강 수요가 늘어나는 게 일반적이지만, 올해는 지난해보다 전반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기요금이 올라도 단가에 반영하기 쉽지 않은 구조다. 하반기에도 전기요금이 또 오른다면 수익성 악화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