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부터)김병수 김포시장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강범석 서구청장과 함께 협약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김포시 제공
김포시와 인천 서구가 5호선 김포연장 사업의 노선을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맡기기로 전격 합의했다.
김병수 김포시장은 2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강희업 대광위 상임위원이 배석한 가운데 강범석 서구청장과 '서울 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 조속 진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김병수 김포시장, 강범석 인천서구청장 만나 협약 5호선 노선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맡기기로 합의 안됐으면 양측 주장 엇갈리며 지연됐을 상황
협약의 핵심은 5호선 노선을 대광위에 맡긴다는 내용이다. 양측은 5호선 연장사업의 조속한 진행을 위해 대광위 조정을 충실히 이행하기로 합의했다.
이로써 5호선 김포연장 사업은 비로소 궤도에 오르게 됐다. 인천시는 5호선 연장 시 검단지역에 최소 역사 세 군데 설치를 염두에 두고 관련용역을 진행 중이었다.
이 용역은 오는 9월에나 마무리될 예정으로, 인천시가 자체용역에서 도출한 결과를 놓고 김포시와 팽팽하게 맞선다면 5호선 사업은 기약 없이 지연될 상황이었다.
김포시는 수년째 지지부진하던 5호선 사업이 '김포한강2 콤팩트시티' 조성계획과 맞물려 추진된 만큼 김포시민들에 유리한 노선으로 깔려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더욱이 김포골드라인의 승객안전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급부상하면서 검단지역 역사는 한 군데, 많아야 두 군데(김포 감정동 경계 포함)만 놓는 노선을 추진하고 있었다.
이날 양측은 서울 방화동 건설폐기물처리업체를 서구의 영향권 바깥으로 이전하고, 세부사항은 추후 별도 협의를 통해 결정한다는 데도 합의했다. 영향권의 범위는 협약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았다.
건폐업체 이전할 경우 서구 영향권 바깥에 입지 市, 폐업·합병 유도하면서 주민피해 최소화 방침 골드라인 대안...예타 면제 통한 신속착공도 추진
김포시는 건폐업체의 폐업 및 합병을 계속해서 유도하되, 설사 이전한다 해도 주민들이 인지하지 못하는 입지에 둔다는 방침이다. 한때 방화동 건폐장 약 20만8천㎡(6만3천평) 규모가 이전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기도 했으나, 실제 이전 대상은 중간처리업체 1곳과 수집운반업체 7곳 등이 사용하는 약 2만~2만6천㎡(6~8천평) 규모다.
추후 폐업·합병을 택하지 않는 업체가 있을 경우 김포시는 시설을 전부 옥내화하고 대형트럭이 도심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이미 김포지역에 약 5만㎡(1만5천평) 규모로 지붕 없이 나대지에서 작업하는 건폐업체가 운영 중인 가운데, 이 업체와 비교해 훨씬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김병수 김포시장이 김포도시철도 골드라인에 탑승해 승객 안전문제 등을 논의하고 있다. /김포시 제공
지자체 간 갈등의 공이 대광위로 넘어가면서 5호선 사업은 급물살을 타게 됐다. 대광위는 최대한 빠른 시일에 5호선 노선을 중재할 것으로 보인다. 5호선은 김포골드라인 혼잡 해소를 위한 유일한 대안으로 지목돼왔으며, 이에 김포시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통한 사업의 신속 착공을 추진 중이다.
김포시 관계자는 "김포시민들이 5호선을 방화차량기지에서 갈아타지 않고 서울 도심까지 직결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건폐장 합의가 필수적이었고, 서울시의 동의로 국토부가 5호선 김포연장을 발표할 수 있었다"며 "오늘 협약으로 5호선 김포연장 사업의 마지막 걸림돌이 해소됐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협약 직후 강범석 구청장은 "건폐장 위치와 검단 주민들의 숙원인 5호선 연장노선 계획에 관해 김포시와 적극적으로 협의해 나가고, 5호선 연장사업이 조기 착공할 수 있도록 역량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또 김병수 시장은 "원희룡 장관의 중재 노력에 감사드린다"며 "김포골드라인 문제를 하루빨리 해소하고자 노력하면서 김포 콤팩트시티 광역교통대책인 5호선 연장사업의 예타 면제를 위해 부지런히 움직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