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7년 화성시만 살아남는다.'
전국 최대 광역단체인 경기도마저 2067년 31개 시·군 중 화성시를 제외한 30곳이 인구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전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래픽 참조
인구 문제에서 안심할 수 없는 만큼 지역 활력 지수 운영, 행복담당관 설치 등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기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사라지는 지방, 지역 활력에서 답을 찾다'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1천223만명에서 2022년 1천358만명으로 경기도 인구가 지난 10년간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통계청이 올해 2월 발표한 '2022년 인구동향조사'에서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아지는(사망자 7만8천990명, 출생아 7만5천277명) '데드크로스' 현상이 발생하며 인구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2067년 화성 제외 전지역 고위험
65세 이상 비율 20~30대 여성 5배
활력 지수 운영 등 적극 대응 필요
실제 감사원이 2021년 7월 발간한 '인구구조 변화 대응 실태 감사보고서'에서는 2067년 화성시를 제외한 30개 시군을 소멸 고위험 지역(65살 고령인구가 20~30대 여성인구의 다섯 배가 넘는 곳)으로 분류됐다.
현재 도내 소멸위험 지역(65살 고령인구가 20~30대 여성인구의 두 배가 넘는 곳)은 가평, 연천, 양평, 여주, 포천, 동두천 등 6곳이다.
경기연구원은 경기도가 시군의 소멸 위기를 적극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성하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시군별 역사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역 고유 브랜드를 창출하고 정주 의식을 높이면서 지역 발전을 추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행·재정 지원을 실시해야 한다"며 "소멸위험 지역 여부에 따른 31개 시군의 경쟁적 관계 등 부정적 요소를 해소하고, '지역 활력'의 관점에서 상호 발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