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역 물류산업 발전을 위해 2032년까지 스마트 기반 물류체계를 구축하고 국내·국제 물류 인프라 등을 확충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31일 물류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제4차 지역물류 기본계획(안)'과 '2023년 지역물류 시행계획(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지역물류 기본계획은 5년마다 수립하는 10년 단위의 최상위 물류 법정계획이다. 시는 제4차 지역물류기본계획(2023~2032년)의 비전을 '디지털 물류 선도, 글로벌 물류 성장엔진 인천 구현'으로 정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한 전략으로 ▲단절 없는 물류거점 및 연계 체계 구축 ▲스마트 기반 디지털 물류체계 구축 ▲생활밀착형 물류체계 구축 ▲지속가능한 물류산업 육성 ▲인천 특화형 물류산업 육성 정책 등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정책委 열고 올해 기본계획 확정
2032년까지 구축… 인프라 확충


우선 철도·공항·항만 물류 인프라 네트워크를 강화해 인천지역 물류거점을 거미줄처럼 잇는다는 계획이다. 내항·남항 배후지역 도로를 정비하고 도시철도 유휴공간을 활용해 도시 물류 인프라를 확충할 방침이다. 인천항만공사가 추진하는 항만 배후단지 조성 사업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급증하는 물류수요에 대응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물류산업 디지털 전환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역 내 물류문제 해결을 위한 디지털 기반 실증·시범사업을 추진하고 드론·UAM(도심항공모빌리티)을 활용한 물류배송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공항·항만을 포함한 물류산업 전반에 대한 통계조사를 실시, 이를 바탕으로 인천형 물류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은 물론 유망 물류 스타트업을 발굴해 지원하고 디지털 물류 전문인력 양성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