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경기도·서울시 등 수도권 3개 지자체가 15일 인천 강화 에버리치 호텔에서 '2023년 메가시티 한강하구 포럼'을 열고 한강하구 통합 관리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서 유재원 (주)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대표는 '한강하구의 환경기초조사 현황과 대책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합성머스크, 미세플라스틱 등 오염 물질이 한강하구를 통해 인천 앞바다로 배출되고 있다며 이런 환경 오염에 대응하기 위해선 수도권 지자체들이 한강하구를 통합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합성머스크는 향수, 화장품, 비누 등에 사용하는 인공 향료 성분이다.
유 대표는 "한강 상류·하류, 임진강, 강화도, 덕적도 등에서 시료를 채취해 조사한 결과 합성머스크 성분이 광범위하게 검출됐다"며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생태계나 인간 건강에 악영향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미세플라스틱도 한강하구와 인천 앞바다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유 대표는 "미세플라스틱이 유입되면서 강바닥이나 해저에 쌓이고 있다"고 했다.
그는 한강하구 생태·환경센터와 같은 물리적 통합 관리 공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시민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한강하구의 중요성과 가치를 알려야 한다고도 했다. 이를 위해선 한강하구 관리법 등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게 유 대표 생각이다.
합성머스크 성분 등 광범위 검출… 지속 노출땐 생태계·건강 악영향
필요성 논의 불구 법률제정 장기간 소요… 보전·활용 방안도 찾아야
이날 토론자로 나선 송미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그동안 수차례 통합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됐지만, 법률 제정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며 "그 이전에 (가능한 범위에서) 수도권 지자체들이 한강하구를 보전·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포럼에 참여한 서울시 관계자도 지자체 간 협력이 필요하다며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도 한강하구 관리법 제정 등에 찬성하고 있다"며 "그동안 인천시가 주도적으로 한강하구와 관련한 활동을 해왔다. 앞으로는 인천시, 경기도와 한강하구 관련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영상 인사말에서 "한강하구는 상류로부터 인천 앞바다까지 이어지는 국내 유일의 '열린 물길'이지만, 접경지역이라는 특수성과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효율적 협력이나 유기적 연대가 쉽지 않았다"며 "거시적인 통합 관리와 보전 방안을 논의하고, 새로운 희망의 물길이 한강에서 서해까지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