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수.jpg
김창수 인하대 초빙교수·객원논설위원
올해는 '간토대지진(關東大地震)' 발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간토대지진은 1923년 9월1일 낮 12시경 도쿄 일대에 발생한 강도 7.9의 대지진을 말한다. 이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는 10만명에 이르고, 파괴되거나 소실된 가옥이 46만여 호, 이재민 수가 340만명에 달할 정도로 큰 지진이었다. 동양 최고의 도시라고 자랑하던 도쿄의 대부분이 잿더미 속에 매몰되었으며 요코하마(橫濱)는 도시 전체가 완전히 파괴되고 말았다.

그런데 지진이 멈추고 난 뒤 한국인의 끔찍한 재앙이 시작되었다. 대지진 직후 일본군부는 조선인에 대한 악의에 찬 유언비어를 날조하여 퍼뜨리며 공황상태에 빠진 일본인들로 하여금 잔혹한 학살극을 벌이도록 유도했다. 그 결과 대지진 직후 6천명 이상의 조선인들이 일본의 군대나 우익단체에 의해 학살되었다. 이런 참극은 일본 정부가 혼란에 빠진 일본 국민의 민심을 수습하기 위한 계략으로 '조선인이 각지에서 폭동을 획책하고 있으며 그 배후에는 사회주의자와 과격사상의 소유자가 있어 내란을 일으키려 한다'는 유언비어를 유포시킨 데서 촉발되었다.

日군부 유언비어로 조선인 6천명 이상 학살
어려운 발음 시켜 색출후 닥치는 대로 죽여


당시에 유포된 유언비어가 자연발생적인 것이 아니라 일본 정부의 의도적 유포나 방조에 의한 것임이 여러 증거와 증언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9월 3일 내무성의 경보국장은 조선인들이 진재를 이용, 불을 지르고 폭탄을 투척하여 좋지 못한 목적을 수행하려 한다는 내용의 문서를 보낸 사실과 '불령선인들의 행동 이면에 사회주의자와 소련의 과격파가 관련되어 있다'고 명시한 육군 참모장의 포고령도 사실로 확인됐다. 

 

9월2일 아침부터 '조선인사냥'이 시작되었다. 광기에 찬 자경단원들과 군인들은 조선인이라면 거리나 집안에서 닥치는 대로 찾아내 죽였다. 이들이 조선인을 색출하는 방법은 한국인들이 발음하기 어려운 '15원15전(쥬고엔 고짓센)'을 발음해보라든가, 역대 일본천황의 이름을 대라고 해서 대답하지 못하면 조선인으로 단정했다. 수염이 길거나 털이 많은 사람도 조선인으로 의심받았다. 이같은 식별법은 일본 내무성 경보국이 행정 창구에서 사용하던 내부지침이었다. 조선인이라고 식별되어 붙잡힌 사람은 장총, 군도, 날창, 죽창, 곤봉, 쇠갈퀴 등으로 타살되었다.

이와 같이 일본정부가 조작 선동한 혼란으로 6천명이상 2만여명에 이르는 한국인이 일본의 군대 및 우익단체에 의해 학살되었다. 대지진으로 불바다가 된 관동지방은 조선인의 시체로 산을 이루고 도쿄를 가로질러 흐르는 두 개의 강, 아라카와와 스미다가와는 핏빛으로 물들었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자경단의 끔찍한 학살극이 끝나갈 무렵 조선인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수용소에 격리, 수감했다. 수감된 인원중 상당수도 아사하거나 학살되었다.

한국정부, 항의·진상요구 한번도 한적 없어
감춰졌던 '한일 근대사'로 반드시 밝혀져야


간토대지진 당시 조선인학살의 전모를 밝히는 일에 일생을 바친 연구자가 있었다. 2년 전에 작고한 재일사학자 강덕상(1931~2021) 전 히토쓰바시대 교수다. 그는 시간강사와 계약직 교수를 전전하면서도 생활비를 아껴 자료들을 모았으며 이 자료들로 간토대지진 관련 논문을 발표해왔다. 강덕상 교수가 평생 모은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사 원천 자료 700상자 분량이 국내 한 재단에 기증되었는데 그중 간토대지진 관련 자료는 14상자에 달한다. 강덕상 교수의 자료 기증이 조선인 학살의 진상 규명의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런데 납득하기 어려운 사실은 일본정부와 군대, 민간인이 자국민 6천명 이상을 학살한 범죄행위에 대해 한국 정부가 한번도 항의하거나 진상을 조사하라고 요구한 적이 없었다는 점이다. 학살에 대한 망각이나 은폐는 또다른 범죄이다. 지금이라도 정부는 일본정부에 대지진 당시 일본의 치안당국과 군대가 조선인 학살에 어떻게 가담했는지에 대한 진상 조사를 요구해야 한다. 간토대지진과 조선인 학살사건은 감춰졌던 한일 근대사로 반드시 규명되어야 한다. 학살극의 진상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과도 용서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김창수 인하대 초빙교수·객원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