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한잔 하면서 여러 말이 오가던 중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자녀 계획으로 옮겨갔다. 맞벌이 무자녀로 딩크족이었던 친구는 지난해 마음을 바꾸고 아이를 가지려고 노력 중이라고 했다.
지난해 마흔이 되면서 다른 친구들을 보니 생각이 바뀌었다는 게 그의 말이다. 다소 늦은 탓인가 자연 임신에 여러 번 실패해 의학에 힘을 빌리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며 무거운 표정을 지었다.
문제는 족히 100만원에서 400만원 가량까지 들어가는 시술비 부담에 한두 번 더 해보고 안된다면 포기하려 하겠다고 한다.
출산율 저조로 인구절벽의 위기 속에 40대 초 남성과 30대 후반 여성의 맞벌이 부부가 자녀를 갖고 싶어도 시술비 부담에 포기하려고 한다는 말에 헛웃음이 절로 나왔다.
이에 난임부부에 대한 지원 정책 등을 찾아보는 중 친구의 말처럼 중위소득 180% 이하여야만 대상이 된다는 점을 알게 됐다.
10년 넘게 맞벌이를 한 부부라면 웬만해선 중위소득 180%를 넘고 특히 인구절벽은 국가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대한 일인데 이마저도 소득에 따라 차등을 두는 것을 보고 무슨 경우인지 이해되지 않았다.
그래도 비슷한 생각을 하는 지자체도 있었다. 이 같은 문제가 최근 수면 위로 오르자 서울 관악구와 인천을 비롯해 경기도에서는 구리와 군포, 여주에서 조건 없는 지원을 펼치고 있다. 용인은 최근 조례를 통해 기준 완화를 추진 중이다.
하지만 경기도 평균 출산율보다 낮고 시민 수가 계속 줄고 있는 안산시는 정부의 움직임만 기다리고 있어 아쉽다.
민선 8기 안산시는 적극 행정을 강조하고 일부 사례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이 역시 정부보다 앞서 추진하는 것도 적극 행정의 하나가 아닐까 생각된다.
/황준성 지역사회부(안산) 차장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