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2601000976300045731.jpg
일부 시민단체들과 동두천시민들이 보존과 개발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동두천 소요산관광지 내의 옛 성병관리소 건물. 동두천/오연근기자 oyk@kyeongin.com

타 지역 시민단체들이 동두천 소요관광지 내 '옛 성병관리소 건물' 존치 주장(4월11일자 8면 보도="개발 위해 흉물 철거해야"… 동두천시 '옛 성병관리소' 싸늘한 반응)을 또다시 하고 나서자 동두천시민들이 '지나친 간섭'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타 지역시민단체 토론회 열자
시민 "문헌만으로 보존 충분"

최근 일부 경기도의회 의원들과 시민단체들은 도의회에서 '동두천시 옛 성병관리소 보존과 활용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에는 전·현직 더불어민주당·정의당 소속 의원과 교수, 기지촌여성인권연대, 두레방 활동가들이 참석했다.

주제발표에서 박정미(충북대) 교수는 "옛 성병관리소가 지역역사와 여성인권 교육의 장으로 활용돼야 한다"고 밝혔고, 안김정애 기지촌여성인권연대 대표는 "한미군사동맹에 의한 미군 위안부 여성에 대한 인권침해는 바로 잡아야 한다. 역사 보존이 우리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최희신 경기북부평화시민행동 활동가는 "옛 성병관리소가 사라지는 것은 역사를 숨기고 지우려는 행위"라며 "존재만으로도 정부와 미국이 협상할 수 있는 근거다. 평화문화기억관, 여성인권평화박물관으로 활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같은 토론회 소식이 알려지자 동두천 시민들은 동조할 수 없다며 발끈했다.

심우현(63) 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장은 26일 "성병관리소는 성매매 종사자 성병 관리를 위한 집합시설이었다. 신흥학원 소유였을 때는 침묵하다 지자체로 소유권이 이전된 뒤 보존을 운운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 동두천에서 태어나지도, 성장하지도 않은 외지인들의 존치 여론 조장은 소요산관광지 발전을 가로막고 시민단체 활동 근거지 마련, 반미여론 조장을 위한 불순한 의도로 엿보인다"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그는 "옛 성병관리소의 존폐 여부는 지자체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민주(동양대) 교수도 "옛 성병관리소 존폐 여부는 당시 피해 여성들의 의견이 우선돼야 하며 타 지역 시민단체가 동두천 시민의 의견을 대변할 수 없다. 물리적 공간이 없어진다고 해서 역사에 대해 반성과 성찰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보존은 '동두천=기지촌'이란 이미지를 오랫동안 각인시킨다. 문헌 기록만으로도 보존은 충분하며 상처를 뛰어넘는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옛 성병관리소는 6·25전쟁 후 기지촌 성매매 여성 종사자들의 성병관리를 위해 1972년 당시 양주군이 건립했다. 이후 1992년 소유권이 신흥학원으로 넘어간 뒤 30여 년 동안 방치돼오다 동두천시가 소요산 확대개발정책의 일환으로 지난 2월 부지와 건물을 매입했다.

동두천/오연근기자 oy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