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2701001017300047691.jpg
/경기도 제공

의정부 흥선동 등 경기도 내 원도심 쇠퇴지역 11곳이 에너지자립, 환경정비, 리모델링 등 도시재생사업으로 활성화된다.

도는 '경기 더드림 재생사업' 공모에 참가한 19개 시·군 24곳을 대상으로 서면 평가·현장실사·대면 평가를 실시해 11개 대상지를 최종 확정했다고 27일 밝혔다.

11곳은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의정부시 흥선동, 하남시 덕풍동, 광명시 소하동, 의왕시 부곡동, 동두천시 보산동, 연천군 신서면, 부천시 오정구 원종동, 평택시 서정동, 여주시 하동, 부천시 원미구 원미동 등이다.

'더드림 재생사업' 24곳 대상 평가
안산 원곡·의정부 흥선동 등 확정
민선8기 공약·시군정책 연계 추진

경기 더드림 재생사업은 지역과 상권 활성화에 집중해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차별화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정부 도시재생사업 선정 규모가 매년 100곳에서 30곳 내외로 대폭 축소되면서 원도심 쇠퇴지역 주민들의 삶을 두고만 볼 수 없다고 판단해 정부 도시재생사업과의 차별화를 위해 민선 8기 공약과 시·군 정책사업을 연계해 성과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광명시는 미니태양광 보급지원사업을 통해 에너지자립을 실천하고 안산시는 생활폐기물 배출시설 사업으로 다문화국제거리 환경정비를, 하남시는 행복마을관리소 운영 등 생활밀착형 민선 8기 역점사업을 집적화한다.

연천군은 신서도신권역 지역 활성화 사업을 통해 근린 광장 조성과 주차장 환경개선사업 등으로 범위를 넓혔다.

평택시 서정동은 전통시장 환경정비를 비롯해 축제, 플리마켓, 야시장 운영으로 상권 활성화를 꾀하고 여주시 하동은 옛 경기실크 부지 내 건축물을 리모델링해 행사·전시·교육 등 문화 놀이터로, 부천시 오정구 원종동은 원종시장 내 중정을 활용한 행사·축제 등 사람이 찾는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윤성진 도 도시재생추진단장은 "경기 더드림 재생 사업을 통한 공동체 중심의 다양한 사업들이 시도되고 지속가능한 모델이 발굴될 수 있도록 행정·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