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이순영(사진) 교수팀이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료패널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6천828명을 대상으로 주중 하루 평균 좌식시간과 주당 중등도·고강도 신체활동 일수를 추적 관찰한 경과와 심뇌혈관질환 누적 발생률 간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좌식시간이 많았다가 크게 감소한 그룹(8.8시간→5.0시간 감소)은 좌식시간이 적었다가 크게 증가한 그룹(5.6시간→7.7시간 증가)에 비해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30% 낮았고, 주 2~3일 이상 신체활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그룹은 신체활동 실천을 전혀 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4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좌식시간이 적은 수준에서 크게 증가했더라도, 주 2~3일 이상 신체활동을 한 경우 신체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50% 감소했다.
또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지난 10년간 국내 성인의 약 75%에서 좌식시간이 증가한 반면 주당 신체활동 실천 일수는 감소했고, 약 10%는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순영 교수는 "불가피하게 좌식시간이 길더라도 주 2~3일 이상 꾸준히 중등도 이상의 신체활동을 하면 심뇌혈관질환을 줄일 수 있음을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며 "재택·원격근무, 스마트기기의 발달 등으로 국내 성인의 좌식시간이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신체활동은 감소하고 있어, 신체활동을 높이기 위한 개인과 국가 차원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