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글로벌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을 경기도·용인시·정부 부처가 손을 잡고 추진 중인 가운데, 추진 과정에서 장애물로 지적된 용수와 전력문제에 대한 해법이 제시됐다. 강원도에서 용수를 공급받고 국가산단 내에 발전소 설비를 지어 용수·전력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구상인데, 이를 통해 첨단 반도체 국가산업단지의 공사 기간을 2년가량 단축하기로 했다.
27일 삼성전자 기흥사업장에서 열린 '국가산업단지 성공추진을 위한 협약식'에 경기도·용인시·국토교통부·LH·삼성전자가 참여했고, 산업통상부와 환경부도 범정부 차원에서 함께하며 국가산단 성공 방안을 논의했다.
오는 2030년까지 용인시 이동면·남사면 일대에 710만㎡ 규모로 지어지는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단지는 기존 메모리 반도체 중심의 한국 산업구조를 시스템 반도체로 전환하는 새로운 기점이다. 지난 3월 정부의 조성 발표 이후 정부와 지자체, 기업을 망라해 이 사업 성공을 위한 추진단이 꾸려졌고 현재 실제 사업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국토부는 올해 안에 해당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마무리하고 오는 2026년에는 사업 착공에 돌입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문제는 용수·전력이다. 모든 라인이 완성된 이후인 2042년 7기가와트(GW)의 전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원전 1기당 1기가와트를 생산하는 것에 비춰보면 천문학적인 전력이 소요되는 것으로, 반도체 생산 과정에서 용수 역시 65만t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국토부 중심으로 꾸려진 범정부추진단은 용수는 강원도의 발전용 댐인 화천댐의 상시 방류로, 전력 문제는 국가산단 내에 발전소를 설치하는 한편 송전선로를 재구축해 전력망을 구축해 해결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조성 과정에서 관련 지자체간 첨예한 갈등도 예상되는데, 이에 대해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기도는 지자체 간 갈등을 해결한 경험이 많다. 이 경험을 토대로 적극적인 중재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신지영·신현정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