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3기 신도시 예정지인 하남교산 거주 주민들에게 위험한 철거공사(6월 9일자 1면 보도=원주민 '철거 사업권' 요구… 생계대책 이 뿐일까) 대신 주민소득 창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건축물 관리용역을 위탁하는 등 종합 생계 대책을 마련한다.

이번에 GH가 마련할 주민생계대책에는 해당 사업 지구 내 건설예정인 공공건축물 관리용역을 주민생계조합에 일괄 위탁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앞서 하남교산 주민조합이 사업 부지 내 건물 철거를 맡겠다는 입장을 폈지만 철거 업무에 위험성이 수반되는 만큼 전문성이 높은 GH가 철거를 맡을 수 밖에 없어 GH-주민 사이 갈등이 벌어졌다.

이에 GH가 건축물 입주자 동의를 거쳐 연장 계약도 가능하고 다른 건축물 관리용역에도 참여할 수 있는 지속적인 생계 대책을 대안으로 제시한 것이다. 이번 대책 예정 검토지는 하남교산 공공주택지구 내 공공건축물이 건설될 예정인 공공혁신허브1 부지다.

이 뿐 아니라 GH는 지장물 해체 공사를 발주하며 원주민이 고용될 수 있는 통로도 마련한다.

강성혁 GH 도시활성화본부장은 "삶의 터전을 잃게 되는 원주민들의 생계 대책 마련에 깊이 공감하고 있다"면서 "GH형 생계대책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생계유지가 지속 가능하도록 원주민들과 상생 협력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 고 밝혔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