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0401000149900006871.jpg
노후 가압식 소화기./경기소방 제공

경기도소방재난본부(본부장 조선호)는 지난 1999년 이후 국내 생산이 중단된 가압식소화기를 사용하면 폭발 위험이 있어, 이를 발견하면 사용을 금지하고 폐기해 달라고 4일 당부했다.

경기소방은 지난달 27일부터 30일까지 4일간 경기지역 노후 공장과 상가 및 공동주택 459곳을 대상으로 노후 소화기 긴급 실태점검을 벌였는데, 9곳에서 25대의 가압식소화기를 발견했다. 이 중에는 1986년 생산돼 37년이 지난 소화기도 있었다.

부식땐 폭발 위험… 생산·판매 중단
공장 등 459곳 점검해 25대 발견
손잡이 부근에 압력계 없는 것 특징


분말 소화기는 가압식과 축압식 두 종류로 구분되는 데 주로 사용하는 축압식소화기는 손잡이 부근에 압력계가 있는 반면 가압식소화기는 압력계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가압식소화기는 소화기 용기 내에 가스와 소화약제 용기가 따로 있으면서 가스 압력으로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구조인데, 시간이 지나면 가스 용기가 부식돼 사용 시 내부 압력에 의해 폭발 위험이 있다.

실제 지난달 태국의 한 고등학교에서 화재대피훈련 도중 소화기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해 학생 1명이 숨지고 21명이 부상을 입었고, 지난 2013년 8월 서울의 한 공장에서고 소화기를 사용하는 순간 소화기가 폭발해 근로자가 소화기 파편에 맞아 목숨을 잃기도 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