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송도국제도시에 둥지를 튼 재외동포청과 연계해 한상(韓商)과 지역 간 투자 유치 사업을 활성화하는 센터를 설치하기로 했다. 그러나 일부 공공기관에서 추진 중인 사업들과 기능이 중복돼 이를 해결하는 게 과제가 될 전망이다.


16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인천테크노파크, 인천상공회의소 등 관계기관들과 '한상비즈니스센터'를 설치하기 위한 실무 논의를 시작했다.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 후속 사업으로 추진되는 한상비즈니스센터는 해외에 거주하는 한상과 인천지역 기업을 연결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한상은 해외에 거주하는 한민족 혈통의 비즈니스 종사자를 일컫는 말이다. 한상비즈니스센터는 한상과 모국의 비즈니스 거점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한상비즈니스센터는 한상 자본의 모국 투자를 촉진하고, 해외 진출을 원하는 국내 기업을 지원하는 기능을 갖출 전망이다. 다만 기존 사업들과 내용이 일부 겹치는 상황이라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IFEZ 비즈니스센터·마케팅센터…
코트라·무역協 유사사업 해결 과제
市, 센터 통합·서비스 범위 등 고민


인천경제청은 'IFEZ 비즈니스센터'에서 국내외 기업의 투자 유치 상담 등을 돕고 있다. 인천테크노파크는 '마케팅센터'에서 인천 기업들의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각종 사업을 추진하며 수출을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도 코트라(KOTRA), 한국무역협회 등 유사 사업을 맡은 기관·단체들이 있는 만큼 인천시는 기능 중복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인천시는 기존 센터들을 통합하는 방안, 업무 영역을 명확히 구분하는 방안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DB용 인천시청 전경
인천시청 전경. /경인일보 DB

인천시는 한상비즈니스센터 사업 범위도 고민하고 있다. 재외동포가 국내에서 사업을 희망할 때 서비스 지원 범위를 인천으로 한정할지, 전국으로 넓힐지 등에 대해서도 방향성을 정해야 한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인천시는 한상비즈니스센터를 재외동포청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사업 범위를 인천이 아닌 다른 지역까지 확대할 경우 외교부·재외동포청과의 협의도 필요하다"며 "유사 사업을 하는 다른 기관들과 어떻게 차별성을 가져야 할지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아직 초창기 단계인 만큼 여러 기관의 의견들을 수렴해 종합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