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바이오경제 생산 100조원, 수출 규모 5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는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바이오경제 2.0 원탁회의'를 열고 기존 바이오 의약품 중심의 '바이오경제 1.0'을 넘어 바이오의약품 제조 초격차 확보와 바이오신소재, 바이오에너지, 디지털바이오 등 신산업 육성을 위한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산업부가 이날 내놓은 바이오경제 2.0의 추진 방향은 ▲2030년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국 도약 ▲바이오신소재 산업 활성화 ▲바이오에너지 상용화 ▲디지털바이오 혁신생태계 구축 ▲바이오경제 기반 구축 등으로 구성됐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바이오 경제 생산규모 100조원, 수출규모 500억 달러를 달성하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세계1위 제조국·생산 100조 목표
세액공제 늘리고 국산화율 15%로
바이오메이드 설립 제조역량 강화
우선 정부는 2030년까지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15조원의 민간 투자를 지원한다. 이와 관련해 현재 백신 기술만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된 것을 바이오의약품까지 넓혀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투자세액 공제를 대폭 확대한다.
전략적 외국인 투자유치 등을 통해 현재 5%인 원부자재 국산화율을 2027년 10%, 2030년 15%까지 높인다. 또 '한국판 BioMADE(바이오메이드)'를 설립해 차세대 바이이오의약품 제조역량을 강화하고, 바이오 국가첨단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추진한다.
바이오신소재 산업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환경표지인증 유효기간 연장과 기준 세분화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친환경 바이오에너지 상용화를 위해 법 개정을 추진한다. 석유정제업자가 바이오제품 생산을 할 수 있도록 석유사업법 개정을 추진하고 바이오 에너지의 사용처 확대 등을 위한 표준 개발 등 제도를 정비한다.
이밖에 디지털바이오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100만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해외에 없는 '갈라파고스 규제'를 정비해 첨단바이오기술 등에 대한 제도 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바이오는 제2의 반도체로 불리는 미래 먹거리로서 전략적 육성이 필요하다"며 "바이오경제 2.0 전략이 실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