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전국적으로 교권침해 사건이 잇따르자 사회적 공분(7월21일자 5면 보도=교사 폭행·민원 다반사… 추락하는 교권 이젠 막아야)을 사고 있는 가운데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스스로 생을 마감한 일을 두고 경기·인천지역 교육계에서 잇따라 교사인권보호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는가 하면 애도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23일 교육계 등에 따르면 앞서 지난 1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에서 1학년 담임교사가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은 A씨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보고 수사 중이다. 그러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해당 교사가 학부모의 민원으로 괴로워했다는 의혹이 커지자 교육계의 분노를 사고 있다.
이날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는 성명을 통해 "이제 막 교육의 부푼 꿈을 안고 교직 생활을 하고 있던 시기였기에 황망한 죽음에 동료 교사의 마음으로 슬픔이 더 한다"며 "경기전교조 조합원과 도내 모든 교사는 고인이 된 교사와 유가족의 슬픔을 같이 하고 신속한 진상규명과 문제 해결에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교원단체총연합회 역시 "경기교총도 한국교총과 함께 사건 진상을 신속히 규명하고, 가해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이 이뤄질 때까지 총력 대응할 것"이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경기교원단체 "가해자 강력 처벌"
인천교사노조 "최소한의 장치를"
잇따라 성명 발표하고 애도 물결
인천지역에서도 교권을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장치가 하루빨리 마련돼야 한다는 교직 사회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인천시교육청 정문에 추모공간을 마련한 인천교사노동조합은 21일 성명을 내고 "가장 힘들고 외로울 때 손잡아주지 못했다는 안타까움이 가장 크다"며 "선생님의 죽음에 그 어떤 의혹도 없도록, 그리고 오늘도 '자존'이 아니라 '생존'을 고민하는 현장의 교사들을 보호하는 대책이 마련되도록 힘쓰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인천지부는 "학급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이 사실상 교사 개인의 책임으로 전가되는 구조가 잘못됐다"고 지적하며 "다시는 위기 상황 앞에 교사를 홀로 내버려 두지 않도록, 구성원들이 서로 믿고 배려하는 따뜻한 학교가 되도록 노력하겠다. 교육 당국은 학교를 지키고 교사들이 안전한 교육활동을 할 수 있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가운데 일부 교사들은 숨진 교사의 49재 날인 오는 9월 4일 연대 파업을 벌이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교육당국은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합동조사단을 꾸려 24일부터 27일까지 집중 조사를 벌인다는 방침이다. → 관련기사 15면("학생인권조례 전면 손질… 교권 균형 맞출 것")
/이상훈·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