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대 초등교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을 계기로 교권 침해 논란이 확산(7월24일자 7면 보도='서이초 교사' 사망 소식에 경인지역도 교권보호 외침)되는 가운데 경기지역 교사들을 중심으로 학부모 및 학생에게 악성 민원에 시달려왔다는 폭로가 빗발치고 있다.
24일 교사노동조합연맹 경기교사노조(이하 경기교사노조)에 따르면 경기교사노조는 지난 21일 오전 11시부터 온라인 사이트를 개설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권 침해 사례를 수집하고 있다.
이날 오후까지 사이트에 접수된 제보는 2천 건을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는 경기교사노조 조합원 교사 2만2천여명을 대상으로 문자를 보내 진행됐고, 링크가 공유되는 방식으로 전국 교사들의 참여가 잇따르고 있다.
기한 안두고 사이트 제보 받기로
'교권침해 미투' 운동 시작 발표
경기교사노조는 이중 전날까지 접수된 1천665건 제보 가운데 일부 내용을 공개했다.
임신 중이던 한 교사는 학부모에게 "왜 맨날 이런 선생님만 담임 되는지 모르겠어요.", "올해는 임신하지 마세요."라는 얘기를 들었다. 모친상으로 휴가를 지내던 다른 교사는 학부모로부터 "장례는 3일인데 왜 5일이나 자리를 비워요. 우리 애들 생각은 안 해요."라는 항의를 받았다고 폭로했다. 기혼 여부를 물으며 "저희 애 졸업할 때까진 결혼하지 말라."고 주장하는 학부모 사례도 있었다.
한 특수교사는 학부모로부터 교내 위원직을 위시해 "선생님, 저는 무기가 많아요.", "내가 아동학대로 고소해야겠어요. 우리 애가 선생님 싫다는데 내가 학운위라 교장선생님 봐서 참아주는 거야." 등으로 협박을 받았다며 학부모의 교육활동 참여를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바탕으로 '교권침해 미투(MeToo)'운동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경기교사노조 측은 "교사의 정당한 교육활동을 침해받고, 무분별한 아동학대 고소가 남발하는데도 교육 당국은 수수방관하고 다른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 등 그 모든 문제를 어떠한 지원과 대책 없이 오로지 교사에게 돌리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기교사노조는 기한을 두지 않고 사이트를 운영해 제보를 계속 받을 예정이다. 황봄이 경기교사노조 교권보호국장은 "교사들이 자신이 겪은 어려움을 털어놓고 마음의 위로를 찾도록 당분간 사이트를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교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일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생활지도 범위·방식을 규정한 교권 강화 교육부 고시안을 8월까지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산기자 mountai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