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 (6)
최근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26일 오전 경기도청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에서 관계자들이 지난주 신규 확진자 수를 확인하고 있다. 2023.7.26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추세를 보이면서, 재유행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다음달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하향과 방역 추가 완화를 한다는 계획인데, 재유행 추세를 고려해 고위험군 보호 등 대책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7월 셋째 주(7월 16∼22일) 확진자는 25만3천825명으로 전주 대비 35.8% 증가했다. 4주 연속 증가세다.

지난 19일 기준 신규 확진자는 4만7천29명으로, 겨울 재유행이 정점을 지난 후인 지난 1월 11일(5만4천315명) 이후 6개월여 만에 최다였다. 추세가 계속되면 곧 5만 명대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검사에 소극적인 최근 추세를 고려하면 숨은 감염자까지 포함, 이미 일 확진자가 5만명을 훌쩍 넘었다는 주장도 있다.  

 

전문가들은 확진자 증가 추세가 마스크 의무 해제 등 방역정책 완화와 더불어 거듭된 변이 출현에 따른 면역력 약화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거듭된 변이출현·면역력 약화 원인
검사비 자부담땐 '깜깜이 감염' 증가

이런 상황에서 8월부터는 코로나19가 감염병 4급으로 조정된다. 조정에 따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과 입소형 감염취약시설 등 일부에 남아있던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된다. 또 감시체계가 전수감시에서 표본감시로 바뀌고 확진자 수 집계도 중단되며, 검사비와 치료비 역시 대부분 자부담으로 전환(건강보험 적용)된다. 이 때문에 '깜깜이 감염'이 증가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한편 정부는 오는 10월 오미크론 XBB 계열 변이를 기반으로 한 새 백신으로 전국민 무료 예방접종을 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가 일상회복 절차에 속도를 내면 백신 호응도가 떨어질 것이란 지적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