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서울~양평 고속도로를 변경안이 아닌 원안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원안대로 추진될 경우 서울~양양 고속도로와 연결하는 작업을 경기도가 나서 하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3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긴급 브리핑을 통해 서울~양평 고속도로 논란에 직접 입장을 밝힌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국토교통부의 해명을 대목마다 반박하며 "원안이 낫냐 변경안이 낫냐는 건 부차적인 문제이고 국가운영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원안을 추진하는 게 국론분열을 막고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국가 의사결정 체계에 따라 결정된 국토부 원안이 채택되면, '백지화 선언' 이후 불거진 국정 난맥상을 해소할 수 있다. 국정에 대한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도 될 것"이라면서 "경기도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경기 동북부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비전으로 서울~양평 고속도로와 서울~양양 고속도로 연결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국가 시스템에 의한 결정 따라야
국론분열 막고 신속한 사업 가능"
동북부 체증 해결·국면 난맥 해소
현재 기획재정부 예타를 통과한 원안(양서면 종점안)은 양평 종점 우상단에 위치한 서울~양양 고속도로와 근접해 연결이 가능하다. 경기도는 원안 추진 시 정부 예산을 받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서울~양양 고속도로 연구용역을 준비할 계획이다. 서울~양평 고속도로가 경기도의 건의로 노선 논의가 시작된 만큼, 이번에 서울~양양 고속도로와의 연결을 화두로 제시해 새로운 도로 사업으로 국면을 바꿔 진실공방으로 비화한 난맥상을 극복하자는 것이다.
김 지사는 "서울~양양 고속도로의 교통수요가 분산되면, 주말이면 서울에서 강릉까지 6시간이 넘게 걸리는 전 국민의 교통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지금 필요한 것은 국민 신뢰회복과 국론통합이고, 신속한 사업 추진이 그 출발점이 될 것이다.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서울~양평 고속도로 시원하게 뚫어보자"고 제안했다. → 관련기사 3면(김동연 경기도지사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이유·과정 비정상적")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