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경기도·인천시 아파트 전·월세 시장이 지난해보다 신규 계약이 늘어나고 재계약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이 하락세인 만큼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계약기간을 연장하는 대신 새 집을 찾아 나서는 임차인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1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달 경기도 전용면적 60㎡ 초과 85㎡ 이하 아파트 전·월세 계약건수는 총 9천467건으로, 이 중 갱신계약은 2천595건(27.4%)이었다. 아파트 전·월세 계약 10건 중 2건꼴만 재계약인 셈이다. 1년 전인 지난해 7월 아파트 전·월세 계약 1만2천741건 중 갱신계약이 4천205건(33%)였던 점을 고려하면, 1년 새 재계약이 줄어들었다.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건수 감소
경기도, 절반 밑돌던 신규계약 '56%'


기존과 동일한 조건으로 계약을 이어가거나 보증금을 낮춘 사례도 적지 않았다. 지난달 고양에 소재한 전용 84.95㎡ 규모 아파트는 전세 갱신 계약을 체결했는데, 계약갱신청구권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전세 보증금이 4억5천만원으로 직전과 동일했다. 같은 지역 내 전용 84.89㎡ 아파트도 계약갱신권을 쓰지 않고 기존 전세금보다 2천만원 내린 2억6천200만원에 재계약했다.

재계약 시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비중도 1년 전보다 줄었다. 지난해 7월 갱신권 사용 건수는 2천394건으로 재계약 거래의 57%를 차지했다. 반면 올 7월은 재계약 2천595건 중 938건(36.1%)만 갱신권을 썼다. 20% 가까이 줄어든 것이다. 역전세난이 심화된 만큼, 갱신권을 쓰지 않고도 임대차 연장 계약이 성사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아파트 임대차 신규 계약 건수는 늘어나는 양상이다. 경기도의 경우 신규 계약이 지난해 7월 6천32건으로 전체 거래의 47.3%에 그쳤지만, 올 7월엔 5천324건으로 전체 거래의 56.2%를 차지했다.

임대보증금 하락 기조 속 기존 계약을 유지하는 대신 새 집을 찾아 나선 임차인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신규 계약 비율은 전세 사기와 역전세 이슈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 4월 크게 높아졌다가 그나마 7월엔 다소 낮아진 것이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