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최지웅 교수
원형 탈모의 면적이 절반 이상이거나 치료 당시 나이가 어릴수록 예후가 나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원형탈모는 다양한 크기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탈모반이 생기는 것으로 세포독성 T세포가 자신의 모낭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이다.

재발이 흔하고, 심하면 전두탈모와 전신탈모로도 이어질 수 있는 원형탈모는 탈모반이 작을 때는 일반적으로 스테로이드를 바른다.

그러나 탈모 면적이 넓은 경우 단기간 감량 경구 스테로이드를 통해 초기에 모발 재생을 유도하는 치료를 시행하는데, 그동안 이러한 치료에 대한 예후 인자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아주대병원 피부과 최지웅 교수팀 확인
중증일 경우 경구 스테로이드 효과 감소
유전적 민감도 연관, 저항요인 작용 가능


이에 아주대병원 피부과 최지웅(사진) 교수팀은 2017년 1월부터 2022년 5월까지 8주간 약을 서서히 줄이는 메틸프레드니솔론 치료를 받은 원형탈모 환자 136명의 치료와 재발의 예후 인자를 확인했다.

그 결과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6.7세로 환자의 75%에서 기존 대비 50% 이상 탈모가 개선되는 좋은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연구팀은 다양한 요인의 다변량 분석결과, 어린 나이(15세 이하)와 광범위한 탈모(두피의 50%이상 탈모) 두 가지가 8주 감량 메틸프레드니솔론 치료의 나쁜 예후 인자임을 확인했다. 또 재발 관련 예측 인자로는 유일하게 '낮은 비타민D 수치'가 확인됐다.

좋은 치료 반응을 보인 환자들 중 28.4%가 치료 중단 후 평균 5.5개월 내 재발을 경험했으며, 경구 스테로이드 치료의 부작용으로 여드름이 가장 많았다.

연구팀은 나쁜 예후 인자 중 어린 나이는 개인의 유전적 민감도와 연관돼 치료에 저항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중증 원형탈모는 더 심한 모낭 주위 염증에 의한 것으로 경구 스테로이드뿐 아니라 다른 치료법에서도 치료효과를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최지웅 교수는 "어린 나이와 중증 탈모를 가진 환자에게는 경구 스테로이드를 신중히 투여해야 하며, 비타민 D 수치는 스테로이드를 복약한 원형탈모 환자의 재발을 예측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