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16일 빈집을 활용한 공간복지사업인 동두천 아동돌봄센터 기공식을 열고 본격 공사에 도입했다. 방치된 빈집을 주민공용시설로 탈바꿈 하는 빈집활용 공간복지사업이 도내에서 시도된 첫 사례다.
GH와 경기도는 사업비 55억원을 투입해 동두천시 생연동 일원에 지하1층, 지상3층 연면적 871.66㎡의 주민 공동이용시설을 짓고, 동두천시는 이 시설을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아동들의 돌봄 공간으로 활용한다.
GH는 빈집 등 유휴부지를 활용해 각종 생활 인프라가 부족한 다가구, 다세대 빌라촌 등에 지역주민을 위한 놀이터, 경로당, 유치원 등 다양한 공동이용시설을 공급하는 공간복지에 집중하고 있다.
이날 기공식에는 김세용 GH 사장, 박형덕 동두천시장, 김기범 경기도 도시재생추진단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김세용 GH 사장은 "공동이용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낡은 다가구, 다세대, 연립주택 등이 밀집된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빈집 등 유휴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공용시설을 적재적소에 공급하겠다"며 "빈집활용 사업모델이 도내 31개 시군에서 빈집 정비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21년 GH와 경기도는 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경기도 빈집 활용 정책 시범사업 후보지를 제안 공모해 각각 북부(동두천)와 남부(평택) 1곳씩 후보지를 선정했다.
GH와 경기도는 사업비 55억원을 투입해 동두천시 생연동 일원에 지하1층, 지상3층 연면적 871.66㎡의 주민 공동이용시설을 짓고, 동두천시는 이 시설을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아동들의 돌봄 공간으로 활용한다.
GH는 빈집 등 유휴부지를 활용해 각종 생활 인프라가 부족한 다가구, 다세대 빌라촌 등에 지역주민을 위한 놀이터, 경로당, 유치원 등 다양한 공동이용시설을 공급하는 공간복지에 집중하고 있다.
이날 기공식에는 김세용 GH 사장, 박형덕 동두천시장, 김기범 경기도 도시재생추진단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김세용 GH 사장은 "공동이용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낡은 다가구, 다세대, 연립주택 등이 밀집된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빈집 등 유휴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공용시설을 적재적소에 공급하겠다"며 "빈집활용 사업모델이 도내 31개 시군에서 빈집 정비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2021년 GH와 경기도는 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경기도 빈집 활용 정책 시범사업 후보지를 제안 공모해 각각 북부(동두천)와 남부(평택) 1곳씩 후보지를 선정했다.
/신지영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