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수 진작 등 경제활성화를 위해 추석 연휴와 개천절 사이 징검다리 연휴 중 비휴일인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정치권 등을 통해 나오고 있다.
이럴 경우 최장 6일간의 연휴가 이어지게 돼, 직장인들도 내심 임시공휴일 지정을 기대하는 눈치다.
국민의힘은 28일 추석 연휴와 개천절 사이 징검다리 연휴 중 비휴일인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줄 것을 정부에 공식 요청했다.
오는 9월 28일부터 10월 1일까지 나흘간 이어지는 추석 연휴와 10월 3일 개천절 사이인 10월2일(월요일)을 공휴일로 지정할 경우 총 6일간의 연휴가 생기게 된다.
게다가 그 다음 주 월요일인 한글날도 공휴일이어서 10일 이상의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
국힘, 정부에 임시공휴일 요청
내수 진작 등 경제활성화 기대
추후 당정 간 논의를 거쳐 임시공휴일 지정이 최종 결정되면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무회의 안건으로 상정해 심의·의결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전임 문재인 정부도 집권 첫해인 지난 2017년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 총 10일간의 연휴로 내수 진작을 꾀한 바 있다.
긴 연휴로 내수 소비가 진작돼 여행업계나 소상공인·자영업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특히 코로나19에 대한 거리두기가 사실상 완전 해제된 상태에서 맞는 첫 명절 연휴여서, 기대가 더 크다.
반면 휴무가 늘어 조업일수가 줄어들면서 일선 기업 현장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우려도 있다. 게다가 장기 연휴는 해외 여행 수요만 늘려, 내수경기 진작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반론도 나오는 상황이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