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에서 유일하게 경기도만 '선감학원' 피해 지원에 나서면서, 피해자들이 경기도로 몰려오고 있다.
갈수록 피해 신청이 늘어나자 경기도는 지원 규모를 226명까지 확대한 관련 예산 추경에 편성했는데, 이는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에 선감학원 피해 신청 규모로 사실상 경기도가 전국에 흩어졌던 피해자들을 모두 품게 됐다.
30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3월 23일 첫 지급한 선감학원 피해 지원 규모는 1분기 123명에서 2분기 159명으로 늘었다. 진실화해위에 신청한 피해자가 226명인 것을 고려하면 70%에 달하는 규모다. 3분기 심사는 내달 14일 예정됐는데, 전날(29일) 기준 신청자 역시 183명, 2분기보다 24명 늘어났다.
이처럼 선감학원 피해 지원 규모가 갈수록 늘어난 배경은 경기도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선감학원 피해자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해 진실화해위는 선감학원 인권침해사건을 "국가 공권력에 의한 중대한 인권침해 사건"으로 보고 진실규명 결정을 내렸는데 이후 정부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고 경기도만 공식 사과, 피해 지원을 위해 움직였다
김동연 지사는 직접 진실규명 기자회견에 참석해 공식 사과하고 지난 3월부터 도내 거주하는 피해자 대상 500만원의 위로금과 월 20만원의 생활안정지원금, 의료비 지원 등 지원을 시작했다.
당시 경기도는 진실화해위에 신청한 피해 현황을 고려해 도내 거주하는 피해자를 70명으로 추산, 올해 본예산에 100명규모의 예산 7억4천만원을 편성했다. 지원 대상은 피해지원심의위원회 심사를 거쳐 매 분기 신청하는데, 첫 지급이었던 1분기부터 경기도의 예상을 훌쩍 넘은 123명이 선정됐고 계속해서 대상자가 늘어나고 있다.
올해 12월 4분기 신청까지 고려하면 지원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경기도는 지원 규모를 226명까지 확대, 올해 추경에 관련 예산 6억원을 담았다. 사실상 정부의 외면, 도내 거주자라는 한계 속에서도 유일하게 경기도만 피해자 편에 선 결과, 진실화해위에 피해 신청했던 선감학원 피해자 모두 경기도의 지원을 받게 된 셈이다.
갈수록 피해 신청이 늘어나자 경기도는 지원 규모를 226명까지 확대한 관련 예산 추경에 편성했는데, 이는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에 선감학원 피해 신청 규모로 사실상 경기도가 전국에 흩어졌던 피해자들을 모두 품게 됐다.
30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3월 23일 첫 지급한 선감학원 피해 지원 규모는 1분기 123명에서 2분기 159명으로 늘었다. 진실화해위에 신청한 피해자가 226명인 것을 고려하면 70%에 달하는 규모다. 3분기 심사는 내달 14일 예정됐는데, 전날(29일) 기준 신청자 역시 183명, 2분기보다 24명 늘어났다.
이처럼 선감학원 피해 지원 규모가 갈수록 늘어난 배경은 경기도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선감학원 피해자를 지원하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해 진실화해위는 선감학원 인권침해사건을 "국가 공권력에 의한 중대한 인권침해 사건"으로 보고 진실규명 결정을 내렸는데 이후 정부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고 경기도만 공식 사과, 피해 지원을 위해 움직였다
김동연 지사는 직접 진실규명 기자회견에 참석해 공식 사과하고 지난 3월부터 도내 거주하는 피해자 대상 500만원의 위로금과 월 20만원의 생활안정지원금, 의료비 지원 등 지원을 시작했다.
당시 경기도는 진실화해위에 신청한 피해 현황을 고려해 도내 거주하는 피해자를 70명으로 추산, 올해 본예산에 100명규모의 예산 7억4천만원을 편성했다. 지원 대상은 피해지원심의위원회 심사를 거쳐 매 분기 신청하는데, 첫 지급이었던 1분기부터 경기도의 예상을 훌쩍 넘은 123명이 선정됐고 계속해서 대상자가 늘어나고 있다.
올해 12월 4분기 신청까지 고려하면 지원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경기도는 지원 규모를 226명까지 확대, 올해 추경에 관련 예산 6억원을 담았다. 사실상 정부의 외면, 도내 거주자라는 한계 속에서도 유일하게 경기도만 피해자 편에 선 결과, 진실화해위에 피해 신청했던 선감학원 피해자 모두 경기도의 지원을 받게 된 셈이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