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1.jpg
민간 배달앱 수수료 폭리 견제를 위해 만들어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소비자와 소상공인들의 외면 속 계륵 신세로 전락하고 있다. 사진은 제휴를 맺은 가게에 붙혀져 있는 배달특급 스티거 사진. /경인일보DB

 

민간 배달앱 수수료 폭리를 견제하겠다며 전국 지자체마다 내놨던 '공공배달앱'이 경쟁에서 밀리며 도태되자 일부 지역에서 떠나는 지역민을 잡기 위해 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정작 다른 지자체보다 선도적으로 공공배달앱에 뛰어들었던 경기도 '배달특급'은 진화하지 못한 채 현상유지에만 급급한 실정이다.

10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이재명 전 지사 재임 시절인 지난 2020년 12월 1일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운영을 시작했다. 10%대에 육박하는 민간 배달앱 수수료로 고통을 호소하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공공이 낮은 수수료를 내세우며 배달앱 시장에 뛰어든 것이다.

이후 경기도뿐만 아니라 전국 지자체 곳곳에서 공공배달앱을 내놨는데 현재는 소상공인도, 소비자도 외면한 '계륵' 신세로 전락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지난해 12월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배달서비스 확산에 따른 외식업 변화 특성 연구' 보고서를 보면 배달앱은 배달서비스 취급 외식업계의 44.6%가 이용하고 있는 반면 정작 배달특급을 이용해 발생한 매출액, 즉 시장점유율은 전체 배달매출액의 3.15%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를 두고 경기연구원은 "민간 배달앱의 독과점적 지위를 이용한 과도한 수수료 등 문제를 해소한다는 당초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사실상 역부족"이라고 진단하기도 했다.

타지역도 실적 저조 '돌파구 모색'
대구·전주 등 타서비스 결합 시도
道, 예산 낭비 비판속 "외연 확장"


이런 상황은 경기도만의 일은 아니다. 2021년 민간업체와 협력해 공공배달앱 운영에 나선 대전시는 이용률 저조 등을 이유로 올해 관련 예산 지원을 중단했고, 충청남도의 '소문난샵', 경상남도의 '배달올거제' 등도 유사한 상황에 놓였다.

이에 일부 지자체는 배달에 한정하지 않고 공공배달앱의 외연을 확장하며 변화를 꾀하고 있다.

2021년 대구시 공공배달앱으로 출시됐던 '대구로'의 경우 배달에 이어, 대구로를 활성화하고 플랫폼 업체의 높은 수수료로 어려움을 겪는 택시업계를 돕기 위해 '대구로택시'를 추가 도입했다. 여기에는 이미 지역 택시 대부분이 가입했고 누적 호출 건수도 135만건을 넘긴 것으로 전해졌다. 전라북도 전주시도 커피, 꽃, 과일 등 정기구독 서비스에 나서는 등 계속해서 공공배달앱 정책을 이어갈 수 있는 돌파구를 찾아가는 모습이다.

반면 출시 4년차인 배달특급은 다회용기 제공 서비스 등 외에는 눈에 띄는 변화를 찾아보기 어려운 데다, 도의회 내부에서는 '예산 낭비'라는 지적도 나온다. 경기연구원조차 현재 공공배달앱의 한계를 지적하는데 이를 해소할 대안은 아직도 감감무소식인 셈이다.

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소속 이병길(국·남양주7) 도의원은 배달특급과 관련해 "명분은 좋지만, 결국 도민의 혈세로 유지하는 사업이고 사업을 키울수록 민간영역을 침범해 문제가 크다"며 예산 낭비를 비판했다.

이러한 지적에 대해 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관계자는 "배달특급을 통한 도내 기업 제품 판매 등 커머스 기능 파일럿 개념으로 추진 중이며 아동급식카드와 다회용기 사업은 이미 추가해 진행하고 있다. 배달특급은 소비자 편의를 위해 지속적인 외연 확장을 꾸준히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