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에 한의약 전담부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지는 가운데(6월 21일자 3면 보도="한의약 정책 필요성 공감… '한방난임' 전액 도비 추진"), '한의약육성법 개정 후속조치 경기도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31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정책토론회는 지난 6월 30일 국회를 통과한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한의약 육성 지역계획을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제출해야 하는데, 경기도는 어떠한 내용을 담아야 하는가를 두고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이날 토론회는 박옥분(민·수원2) 의원이 좌장을 맡고, 윤성찬 경기도한의사회 회장이 기조발제, 이용호 경기도한의사회 수석부회장이 주제발표를 맡아 경기도가 주민들의 건강 증진과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도록 지역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토론에는 조남숙 서울한방진흥센터장과 노민호 (사)자치분권연구소 부설 시민교육원 원장, 경기도의회 황세주(민·비례)·박상현(민·부천8) 의원, 이진윤 익산시 보건소장, 유영철 경기도보건건강국장이 토론자로 나서 차례로 의견을 나눴다.

윤성찬 도한의사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대한민국은 의료이원화제도를 채택한 국가"라며 "의료이원화 체제에서 공공의료는 양방의료만 독점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제라도 경기도가 적극적이고 과감한 개혁을 통해 공공의료에서의 한의·양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용호 수석부회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지역 실정에 맞는 한의약진흥시책 수립 및 진흥기관 설립'과 세대별로 '경기도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시행'을 제안했다. 특히 '경기도 한의약 전담부서 신설 및 경기도한의약 육성 조례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조남숙 센터장은 서울한방진흥센터의 건립계획과 과정, 설립 이후 웰니스관광 등 파생 효과 등을 소개했다. 이어 노민호 원장은 한의학이 사회적 공공 실현에 노력하는 모습을 기대했고, 황세주 의원은 경기도 난임부부 한의약지원사업을 사례로 들어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진윤 소장은 난밍·산후건강관리, 치매예방사업 등 지역 한의사회에서 보건소와 진행하는 다양한 보건사업을 사례로 들었다.
좌장을 맡은 박옥분 의원은 "의료이원화제도에도 불구하고 한의학과 관련한 계획이 없었다. 국민들에게 한의학과 양의학을 선택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돌려줘야 한다"며 "초고령사회에 늘어나는 만성질환 환자들이 한의학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한의사 방문 관리 모델과 같은 다양한 정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한의학 전담부서를 신설해 관련 시책을 시행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양의학과 한의학의 협력이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했다.
한편, 지난 5월 경기도민청원 게시판에 '경기도에 한의약 전담부서를 설치해 주세요'라는 글이 올라왔고, 단 열흘만에 답변 기준인 1만명을 넘겼다. 이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의약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충분히 공감한다"며 "그런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한의약 관련 사무가 체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더욱 관심을 갖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답한 바 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