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공교육 멈춤'에 동참했던 교사들이 5일 복귀하면서 학교 현장에 다시 일상이 찾아왔다.

단체행동에 대한 강경대응 입장을 고수했던 교육부는 전날 연가나 병가를 내고 추모에 참여한 교사들을 징계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9·4 공교육 멈춤의 날'을 둘러싼 정부와 교단의 갈등도 한고비를 넘겼다는 분석이다.

다만 정부와 정치권이 내놓은 교권보호 종합방안과 입법안 등에 대한 실효성 논란은 여전한 상태다. 


이주호 장관, 교총회장 등 만남
"학교바꾸기… 매주 의견 경청"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성국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 김용서 교사노동조합연맹 위원장과 만난 자리에서 교육부의 징계방침 철회 입장을 밝혔다.

이 부총리는 "고인에 대한 순수한 추모의 마음과 교권회복에 대한 대다수 선생님의 마음을 잘 알게 됐다"며 "각자의 방식으로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 연가·병가를 사용한 것은 다른 선택을 생각할 수 없는 절박한 마음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추모에 참가한 선생님들이 신분상 불이익을 받지 않게 할 것"이라며 "교육당국이 선생님들을 징계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또 "교육계 전체가 함께하는 범국민 학교 바꾸기 운동을 시작하려 한다"라며 "교권회복과 함께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기 위해 매주 1회 선생님들과 정례적으로 소통할 것"이라고 했다.

교원단체들은 징계방침 철회를 환영하면서도 교권회복을 위한 교육부의 근본적 대책 제시를 요구했다. → 관련기사 3·6·7면(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 "교권확립 특단대책 마련해달라")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