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물론 경기도의회에서도 사회적 고립·은둔자 일명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정책 지원 목소리가 강조된 가운데, 정부가 이들에대한 실태조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사회적 고립·은둔자의 일상 복귀를 위해 '전국민 실태 조사'를 6일 제안했다. 통합위는 우선 전국적으로 '고립 인구' 규모가 약 280만명으로 추정된다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1년 간접 추정 결과를 소개했다. '고립 인구'는 타인과 유의미한 교류가 없고 곤란한 일이 있을 때 도움을 받을 지지 체계가 없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통합위는 "사회적 고립자는 일반인보다 우울증세나 자살 충동이 약 4배에 달하는 등 정신건강 약화 문제로 연결돼 사회적 비용도 매우 큰 상황"이라며 특히 코로나19 이후 우리 사회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립·은둔자의 규모와 원인, 지속 기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주기적인 전 국민 실태 조사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사회적 고립·은둔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라며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강조했다.
사회적 고립자에 대한 실태가 파악되면 이들에 대한 맞춤형 지원도 가능해 질 것이란 전망이다. 경기도의회에는 현재 '경기도 사회적 고립청년 지원 조례안'등이 발의돼 있는 상태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
'사회적 고립자' 280만명 추정… 전국 실태조사 필요
국민통합위원회, 사회적 문제 공감대 강조
입력 2023-09-06 20:50
수정 2023-09-06 20:50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09-07 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