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형-수의사.jpg
송민형 경기도수의사회 부회장
오늘은 이미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사람은 물론 앞으로 반려동물을 키울 예정인 사람들도 관심을 가져볼만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예전에는 반려동물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이 지인집에서 키우는 동물이 낳은 아기를 분양받거나 반려동물 전문 펫숍을 통해 분양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 외에는 달리 선택할 방법이 없던 것도 사실이었으며 다 자란 동물을 데리고 오기보다는 예쁘고 어린 동물들을 더 선호하였기에 펫숍을 많이 이용하였다. 분양이란 펫숍에서 판매하는 동물을 데리고 오는 것을 말한다. 펫숍에 있는 동물들은 강아지 농장이나 고양이 농장에서 낳은 어린 동물들을 경매를 통해 데리고 오는 것이 일반적이며 비용만 지불하면 펫숍에 준비되어있는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 중에서 내 마음에 드는 예쁜 동물을 골라 데리고 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에는 번식만을 목적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강제 교배를 통해 기계적으로 출산을 반복하는 어미에게서 태어난 동물들을 유통시키는 경우도 많았으며 분양 동물의 소위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젖도 제대로 떼지 못한 어린 동물을 분양하거나 분양하는 과정에서도 덩치가 크면 사가지 않는다고 밥도 제대로 주지 않는 경우도 많아 허약하거나 면역력이 떨어져 전염병에 걸린 동물들을 분양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지금은 많은 동물보호 단체들의 노력을 바탕으로 정부의 제도적 정비와 적극적인 지도 단속 등을 통해 많이 개선되었다.

그렇다면 분양만이 유일한 방법일까? 그렇지 않다. 요즘에는 '사지 말고 입양하자'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동물보호소를 통해 입양하는 가정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입양은 유기된 동물, 거리에서 구조된 동물들을 보호소 등에서 데려가 키우는 걸 의미한다. 보호자를 잃었거나, 보호자에게 버림받았거나 보호자 없이 살다 구조된 아이들에게 새로운 부모가 되어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어떠한 방식 취하더라도
집에 새 식구 들인다는 건
반려동물의 평생 책임진다는
마음가짐과 여건 되는지
신중히 판단하고 결정해야


경기도에는 동물 생명 존중과 봉사 정신으로 운영되는 개인 동물 보호소도 다수 있으며 각 지자체별로도 동물보호소가 운영되고 있다. 개인이 운영하는 동물 보호소의 경우 운영방침들이 상이하므로 칼럼을 통해 소개하기는 불가능해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동물보호소에서 입양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지자체 운영 동물보호소를 통해 입양을 할 경우 기본적인 건강검진은 물론 기초 예방접종을 필한 상태에서 입양할 수 있으며 입양에 있어 비용은 발생하지 않는다. 우선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www.animal.go.kr)에 접속하여 '구조동물' 섹션에서 '보호중동물'란을 들어가보면 전국의 동물보호소에서 보호하고 있는 동물들의 사진과 기본적인 구조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접근성 등을 고려할 때 내가 사는 지역을 기준으로 검색해보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할 것이다. 단번에 인연을 만날 수도 있겠지만 시간을 두고 신중하게 모니터링하다 보면 내 인연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식구로 만나고 싶은 동물이 결정되면 우선 보호소에 전화하거나 내방하여 보호소 관리인과 상담을 통해 동물의 성격이나 건강 상태 등을 확인해보는 것이 보다 안전한 입양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보호소에서 동물을 입양하기 위해서는 한가지 숙제가 있다. 동물사랑배움터(apms.epis.or.kr→학습하기→온라인교육→반려견입양전교육 또는 반려묘입양전교육)에서 입양전 교육을 수료하고 수료증을 제출하여야 한다. 다소 귀찮은 일이 될 수도 있겠지만 교육을 통해 새식구 맞이 준비와 더불어 스스로의 마음가짐도 새로이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니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 하겠다. 그리고 요즘에는 보호소를 가장한 신종 펫숍이 등장했다는 뉴스들이 들려온다. 불쌍한 유기견을 무료 입양시킨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온 사람들에게 책임분양비라는 명목으로 터무니없는 금액을 요구하는 사기도 기승을 부린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하겠다.

분양이나, 입양이나 어떠한 방식을 취하더라도 집에 새로이 동물을 식구로 들이는 일은 신중에 신중을 더해 생각해야 하는 일이다. 반려동물을 들이는 일은 가전제품을 바꾸거나 장난감을 새로 구입하는 일이 아니다. 자신이 반려동물의 평생을 책임질 수 있는지에 대한 마음가짐과 여건이 되는지에 대해 신중히 판단하고 결정해야 할 것이다.

/송민형 경기도수의사회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