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생활권으로 묶인 수도권 대중교통 정책을 서울시가 독단적으로 결정(9월12일자 1면 보도=서울시 '무제한 환승 정기권' 급발진… 경기·인천과 충돌)하자, 경기도는 '수도권 통합 환승 정기권' 관련 특별전담조직(TF)을 구성해 다각적인 대책 검토에 나서기로 했다.
서울시가 내놓은 수도권 통합 환승 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에 대한 경기도민 실익을 꼼꼼하게 따져 도민의 이익이 극대화할 수 있는 대안까지 고민한다는 것인데, 이르면 이번 달 안으로 수도권 3개 교통국장 실무협의체도 경기도가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기후동행카드' 도민 실익 극대화
3개 지자체 실무협의 이달내 제안
교통국장·전문가 포함 TF도 구성
오세훈 "의지 있다면 서둘러 동참"
협의 없는 정책 시행 책임 돌리기
道, 도농복합지역 등 포함 고려를
수도권 3개 지자체가 하나의 생활권임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교통정책을 좌지우지하려는 서울시의 행태를 그대로 따르지는 않겠다는 속내로 풀이된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르면 다음 주 중으로 수도권 통합 환승 정기권 관련 논의를 이어갈 TF 첫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경기도 교통국장을 비롯해 전문가를 포함한 7~8명 규모로 구성될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가 이번 TF 구성을 결정한 데는 지난 11일 서울시가 월 6만5천원으로 서울지역 지하철부터 버스, 공공자전거까지 이용할 수 있는 통합 환승 정기권 '기후동행카드' 출시를 계획한데 대응하기 위해서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를 내년부터 시범 판매한다는데, 문제는 수도권 3개 지자체가 하나의 생활권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승차할 때는 쓸 수 없도록 했다.
게다가 경기도, 인천시와의 사전 협의도 이뤄지지 않은 것. 서울시는 지난 6일 경기, 인천시와 사전 협의를 했다는데, 경기도는 당시 서울시가 밝힌 내용은 통합 환승 정기권을 마련했고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는 게 전부였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오세훈 시장은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해 "인천시는 서울시와 같은 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하고 있어 결단만 하면 참여할 수 있지만, 경기도는 준공영제를 아직 도입하기 전이어서 참여하는 데 구조적인 차이가 있다"면서도 "경기도의 의지와 능력 문제다. 의지만 있다면 서둘러 버스 업체와 협상을 마무리하면 동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인천 주민도 중요하다면서도 정작 정책을 시행할 때는 해당 지자체 탓으로 넘기며 선을 그은 셈이다.
실제 경기도는 내년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할 계획이며 도농복합지역 등이 포함돼 교통이용 형태가 다양하다. 도민들이 서울시 출퇴근으로 주로 이용하는 광역버스 요금도 일반 시내버스와 차이가 있는 등 서울시 기후동행카드를 쉽게 도입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더욱이 기후동행카드를 비롯한 통합 환승 정기권을 도입할 경우 버스 업체 등과 분담해야 할 정산 비율, 이에 따른 경기도의 재정 부담 등도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 서울시는 반년 전부터 이러한 과정을 밟았지만, 경기도는 지금부터 하나씩 검토해야 하는 것이다.
아울러 국비 50%가 지원되는 'K패스' 도입 시 도민의 이익, 새로운 형태의 정기권 마련 등도 검토한다.
김상수 교통국장은 "경기도는 도농복합지역 등 지역마다 교통 이용 형태가 다양하다. 전문가들과 데이터를 가지고 기후동행카드 도입 시 도민에게 얼마나 실익이 있는지, 재정 부담은 얼마나 되는지, 버스 업체 등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부담 여부 등을 따져보겠다"며 "기후동행카드 동참 여부는 물론, 새로운 형태의 경기도 대책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