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악한 환경에서 장애인이 생활할 수밖에 없었던 인천지역 피해장애인 쉼터가 환경 개선에 나선다.

인천시는 '피해장애인 쉼터 이전 및 종사자 증원 계획'을 마련했다고 18일 밝혔다.

피해장애인 쉼터는 각종 착취나 신체·정신적 학대로부터 분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장애인을 보호하고, 심리 치료와 복귀 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인천시는 2020년부터 장애인 쉼터 1개를 운영하고 있다.

인천에서 피해장애인을 보호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시설이지만, 남녀 장애인이 한 장소에 머물 수밖에 없는 구조라 장애인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쉼터 공간이 부족해 식당이나 상담·교육 공간 등을 남녀 장애인들이 같이 쓰고 있다.

인력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현재 쉼터 정원은 남녀 장애인 4명씩 최대 8명인데, 종사자는 3명에 불과하다. 장애인의 목욕과 배변을 돕는 것은 물론 상담·치료까지 해야 하고, 병원에도 데리고 가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일손이 턱없이 부족하다.

공간이 부족한 데다, 인력도 없다 보니 쉼터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성별 분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장애인, 중증장애인과 같이 더 세심하게 돌봐야 하는 장애인 등은 쉼터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입소할 수 없었다.

결국 다른 지역 장애인 거주시설로 이용하거나, 학대가 없음을 확인한 뒤 본인이 거주하던 가정으로 복귀하는 일이 많았다.

인천시가 추진 중인 새로운 피해장애인 쉼터는 남성 입소자 공간, 여성 입소자 공간, 상담·사무 공간 등을 완전히 구분할 계획이다. 또 종사자를 1명 더 늘려 채용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이를 위해 필요한 예산 1억2천여만원을 확보하기로 했다.

인천시 장애인복지과 관계자는 "남녀 장애인이 같은 공간에 머물게 되는 구조라 안전사고나 관리 부분에서 우려도 있었지만, 쉼터가 이전하면 이러한 문제가 해소될 것"이라며 "현재 적절한 후보시설을 추려 실사 중이고, 내년에 예산이 반영되는 즉시 추진 계획에 따라 쉼터를 개선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