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jpg
10년 전부터 긍정적 행동지원 정책을 역점 사업으로 추진한 서울시교육청과 달리 경기도 교육청은 2017년부터 전면 시행했지만, 대상이 턱없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경기도교육청 전경. /경인일보DB

 

특수교육을 둘러싼 교사들과 장애부모들의 처우 개선 요구가 한목소리로 이어지는 가운데(9월15일자 1면 보도=[교권보호 사각 '참아야 하는' 특수교사·(4·끝)] 특수교사 어깨 더 무겁게… 혼란만 키운 '보호대책') 전국에서 특수교육대상자 수가 가장 많은 경기도교육청이 정작 전문적 현장 지원책인 '긍정적 행동지원'(PBS) 정책에 대해서는 대상 학생 수가 턱없이 적은 것은 물론, 관련 인프라도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정책과 관련해 10년 전부터 역점 사업으로 추진해 온 서울시교육청과 대비되면서 경기지역 장애 부모들의 지원 확대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돌발행동 맞춤형 중재 지도 'PBS'
학생 개개인 대상 200명 안팎 선정

18일 교육계에 따르면 긍정적 행동지원은 특수교육대상자(이하 특수학생)의 갑작스런 행동을 학생 개개인에 가장 적합한 중재 방법을 찾아 적용하는 지도방법이다. 특수학생의 돌발적인 행동을 개인 문제가 아닌 환경 요인으로 관리하도록 해 특수교육계에서 적극적으로 권장되는 정책이다. 교육부는 2018년 특수교육 5개년 계획에서 특수학생 도전행동 대처법으로 이를 명시했고, 전국 시·도교육청도 관련 정책을 시행해 왔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는 전국에서 특수학생 수가 가장 많은 지자체임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행동지원 대상이 턱없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경기도교육청(이하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장애학생 긍정적 행동지원은 학생 개개인을 대상으로 매해 200여명 안팎으로 선정됐다. 이와 대조적으로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학교 차원으로 31개교를 선정해, 재학 중인 특수학생 약 4천여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은 서울시교육청이 10년 전부터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왔던 배경이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013년부터 관련 지원 시스템을 '서울PBS'로 명명해 실행해오면서 학교 환경 차원의 지원으로 확대했다. 또 특수교사와 장애부모들이 다른 사례를 자유롭게 참고하도록 세세한 대응 매뉴얼과 실행자료를 유튜브 등 온라인으로 관리하고 있다.

반면 2017년부터 긍정적 행동지원 정책을 전면 시행한 도교육청은 서울과 달리 학교 전체 환경이 아닌 학생 개개인 차원의 행동지원에 머물러 있는 데다,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경기도특수교육정보자료실'은 2021년에 게시된 사례집이 마지막이다.


매년 4천명 혜택받는 서울과 대조

관련정보 사례도 2021년이 마지막


이 때문에 특수교사들은 물론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하는 경기지역 장애인 부모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장애인부모회 수원지부 관계자는 "서울은 학교에서 장애 아동을 관리하는 방식이 하나의 문화처럼 형성돼 있다는데 경기도는 부모가 가장 많은데도 부족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분위기"라고 했다. 올해 특수교육통계상 경기지역 특수학생 수는 2만6천963명으로, 서울(1만3천888명)에 비해 2배가량 많았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 관계자는 "한정된 예산에서 도전 행동이 심각하고 세세한 관리가 필요한 특수학생 개개인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보니 (학생 수) 차이가 나는 것"이라며 "올해 긍정적 행동지원 대상 학생은 각 교육지원청마다 수합하는 중으로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태이며, 최대한 많은 학생들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산기자 mountai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