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_2.jpg
두 차례나 유찰된 신항 1-2단계 컨테이너 부두 운영 사업에서 인천항만공사가 지분투자 방식으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신항 배후단지 1단계 1구역이 포함된 인천 신항 일대. /경인일보DB

 

인천항만공사가 두 차례 공모에서 유찰된 '인천 신항 1-2단계 컨테이너 부두'(이하 인천 신항 1-2단계) 운영사업에 지분투자 방식으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높은 임대료 등으로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았던 컨테이너 부두 운영사 모집에 인천항만공사 참여가 결정되면 공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24일 "인천 신항 1-2단계 컨테이너 부두 사업에 지분 투자 여부와 규모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인천항만공사가 6천700억원을 투입한 대형 프로젝트다. 인천 신항 1-1단계 컨테이너 부두 옆에 안벽길이 1천50m 규모의 부두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적정 처리 능력은 연간 138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대분)이며, 인천항에 최초로 적용되는 완전자동화 부두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 신항 1-2단계 건설이 완료되면 연간 500만TEU를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안벽길 1050㎡ 규모 부두 조성 사업

연간 420억 높은 임대료에 난항
'지분 투자 방식' 운영사업자 유도 검토

"2027년 완료 되도록 온힘"

유찰의 원인으로는 높은 임대료가 꼽힌다. 연간 420억원에 달하는 임대료로는 적자가 불가피하다고 업계는 입을 모은다. 또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중 60%를 차지하는 중국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는 점도 인천 신항 1-2단계 사업 참여를 꺼리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항만공사는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운영사업자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분 투자 규모는 전체 사업비의 20% 안팎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 신항 1-2단계 운영 사업자의 경우 하역 장비 구입·운영동 건립 등에 약 4천억원을 투자해야 하는데, 인천항만공사가 20% 규모로 지분 투자를 하게 되면 민간 사업자의 투자비 부담이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인천항만공사가 지분을 투자하기 위해선 적정성 등을 따지기 위한 내부 용역과 이사회격인 항만위원회 의결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런 절차가 끝나기까지 최소 수개월이 걸린다는 게 인천항만공사의 설명이다. 인천항만공사는 지분 투자와 함께 임대료 인하 등 민간 사업자의 공모 참여 유도를 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인천 항만업계 관계자는 "인천 신항 1-2단계 사업이 애초 계획된 2027년에 완료될 수 있도록 총력을 쏟고 있다"며 "공모를 빠르게 하는 것보다 사업자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지분 투자를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