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지사는 26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현재 민주당 내 상황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묻는 질문에 대해 "몹시 안타깝다. 민주당은 저력 있는 정당 중 하나였고 그동안 여러 어려움을 극복해 왔다"며 "단합과 혁신을 통해 극복하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합은 만장일치, 찬성이 아니라 많은 이견 속에서도 성숙하게 단합하는 모습이다. 최근 정치가 실종됐다는 말이 많은데 민주당 내에서 성숙된 정치가 살아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지난 대선 패배 이후 민주당의 자기 성찰이 부족했다는 점을 꼽으며 "지난 도지사 선거 때 저는 성찰이 부족했다, 그렇지만, 겨울에 종자 씨앗 남긴다 생각하고 지지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처럼) 민주당도 자기 성찰하고 국민에게 비전을 보여줘야 했는데 이런 것이 부족했다"고 했다. 이어 "현 상황이 안타깝지만, 함께 힘을 합쳐서 이 어려움을 극복해야 하고 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날 김 지사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발표한 '기후동행카드'에 대해 "좋은 취지"라면서도 수도권 주민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수도권 3개 지자체가 협의가 사전에 이뤄졌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을 내비쳤다.
앞서 서울시는 월 6만5천원으로 서울지역 지하철, 버스, 공공자전거까지 이용할 수 있는 통합 환승 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 출시를 계획했는데 출시 전 공동 생활권인 경기도, 인천시와는 사전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김 지사는 "오 시장이 한 취지나 내용 자체는 좋지만, 사전 협의가 없었던 것은 아쉽다"면서 "경기도는 정부가 추진하는 'K-패스'에 적극 참여할 계획인데, 기후동행카드가 나와 종합적인 계획을 다시 세우고 있다. 협조할 방안이나 경기도 나름의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경기도는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정부와는 다른 길을 택하며 '경기 RE100' 등을 도정 중심에 두고 추진 중인데 이를 두고 "기후변화는 정면 돌파하고 기회로 삼아야 하는 주요 전환점이다. 박정희 대통령 때는 중화학 공업이, 김대중 대통령 때는 초고속망을 깔면서 게임 체인저 역할을 했다"며 "RE100은 이미 국제 표준으로 자리 잡았고 앞으로 수년 안에 신재생에너지를 쓰지 않는 수출 품목은 수출하기 어렵거나 아주 큰 금액의 탄소세가 부과된다. 2040년이면 반도체 수출 3분의 1가량 길이 막힌다"고 했다.
이어 "지금 윤석열 정부 방향으로 간다면, 국제사회에서 뒤처지는 것뿐만 아니라 여러 문제가 많아진다. 경기도는 중앙정부가 안 하면 우리라도 하겠다라는 생각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경기도가 산업단지 RE100을 추진하면서 유수의 기업이 경기도로 오고 있는데, 그 이유도 경기도만 유일하게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하기 때문이다. 정부도 로드맵을 제시하고 활로를 찾아야 한다"고 부연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